문화·스포츠 라이프

권덕철 “11주 만에 오미크론 감소세…‘스텔스 오미크론’ 우세종화”

“위중증·사망자 증가 2~3주 후 본격화될 수도”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2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2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28일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국내에서 11주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스텔스 오미크론의 국내 검출률은 지난주 56.3%로 올라 우세종이 됐다고도 했다.

관련기사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11주 만에 오미크론의 유행이 정점을 지나 서서히 감소세로 전환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23일 49만 명까지 늘었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오늘 18만 7000여명으로 줄었다”며 “지난 21일 20만 9000명과 비교해도 2만 2000여명 적은 규모”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미크론 하위 변이인 BA.2(스텔스 오미크론)의 국내 확산에 대해서는 “국내 스텔스 오미크론 검출률은 지난주 기준 56.3%로, 우세종이 됐다”며 “증상이 있어도 검사를 기피하는 숨은 감염 사례들도 있음을 고려하면, 오미크론이 확실히 감소세로 들어갔는지는 좀 더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위중증자와 사망자 수 증가는 정점의 2~3주 후에 본격적으로 나타날 수 있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도 했다. 그는 “실제 오늘 위중증 환자 수는 1273명으로, 지난 21일(1130명)보다 증가했다”며 “중증도가 높은 60대 이상 고령층의 감염이 최근 들어 지속적으로 증가해 2월 초 10%대를 밑돌았던 60대 이상 비율이 어제 20.9%를 기록했는데, 20%를 넘어선 것은 3개월 만의 일”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고령층에 대해 먹는 치료제를 적극 활용하고, 돌봄 공백도 최소화해 감염과 중증화를 최대한 억제하겠다”고 강조했다.


왕해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