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효율 중시' 尹인수위서 부활한 '명함·자문위원단'

실용주의·업무처리 속도 고려

朴땐 '겸손하자'며 명함 금지령

尹, 분야별 전문가도 적극 기용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서울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인수위원회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서울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인수위원회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실용주의와 효율성.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주문한 핵심 방향이다. 윤 당선인의 기조에 발맞춰 이번 인수위에서 부활한 두 가지 요소가 있다. 바로 명함과 자문위원단이다.



28일 인수위 관계자에 따르면 인수위는 25일부터 인수위 차원의 명함을 인수·실무·전문위원들에게 발급하고 있다. 인수위 관계자는 “명함이 필요하다는 위원들에게 신청을 받아 배부하고 있다”며 “업무 연락 등을 위해 명함이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의 인수위는 ‘명함 금지령’을 내렸다. 당시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인수위는 명함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며 “항상 겸손한 자세를 유지한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이번 인수위는 공식 출범 일주일 만에 업무 효율을 고려해 명함을 부활시켰다. 또 다른 인수위 관계자는 “업무 처리 속도가 중요한 상황에서 불필요한 쇼를 할 이유가 없다”고 전했다.

대신 인수위는 자체적인 기강 잡기에 주력하고 있다. 안철수 인수위원장은 이날 제3차 인수위 전체회의에서 “국정 공백을 막기 위한 인수위가 국정 중단을 불러와서는 안 된다”며 인수위가 정부 부처에 고압적 태도를 가져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과거 이명박 전 대통령의 인수위 소속 위원이 명함을 남용하며 부동산 투자자문 논란에 휩싸였던 것처럼 ‘점령군 행세’를 하다 벌어질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겠다는 경고성 메시지다. 신용현 인수위 대변인도 정례 브리핑에서 안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을 재인용하며 “‘겸손한 자세로 해야 한다’ ‘(인수위는) 점령군이 아니다’라는 기조를 계속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근혜 인수위 시절 폐지했던 자문위원도 부활할 예정이다. 앞서 신 대변인은 “국정 과제를 할 때 여성·청년·노인·저출산·고령화 문제가 폭넓게 다뤄질 수 있기 때문에 전문·실무위원이 부족하다면 자문위원단으로 보충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자문위원은 인수위가 정원 외에 추가적인 자문을 받기 위해 두는 인력이다. 이명박 인수위 시절 558명에 달하는 자문위원들이 있었는데 전문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대선 논공행상용 자리라는 지적을 받았다. 인수위 측은 “분야별 민간 전문가를 기용해 업무 효율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