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정부-삼성 손잡고 中企 스마트 공장 지원 결과…영업이익 ‘껑충’

중기중앙회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 성과 분석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삼성이 손잡고 지원하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의 영업이익이 미도입 기업보다 30%포인트 이상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대·중소기업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성과를 분석한 결과 도입한 기업이 도입하지 않은 기업 보다 영업이익 37.6%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매출액은 11.4%포인트가 차이 났고 부가가치와 종업원 수는 각각 23.4%포인트, 종업원수 3.2%포인트 도입 기업이 높았다. 이번 성과분석은 2018~2019년 사업에 참여해 중소벤처기업부와 중기중앙회, 삼성에서 지원 받은 중소기업 824개사와 동일 업종·매출액 구간의 미도입 중소기업 2,553개사의 재무제표를 비교한 것이다.

관련기사



도입기업은 도입 전보다 영업이익이 26.1% 늘었고 매출액은 13.7%, 부가가치는 22.0% 성장했다. 종업원 수 증가율은 0.8% 수준이었다. 가령 2019년 지원사업을 통해 스마트공장 수준을 고도화한 칫솔 제조업체 대동리빙은 현장관리시스템(MES) 도입과 현장혁신 활동을 통해 납기 대응력을 높이고 품질 경쟁력을 확보해 이전보다 매출이 21% 증가하는 성과를 나타냈다.

이에 반해 미도입 기업은 같은 기간 매출액 증가가 2.3%에 머물렀으며 영업이익과 부가가치는 각각 11.5%, 1.4%의 역성장을 나타냈다. 고용 역시 2.4% 줄었다.

KBIZ중소기업연구소장은 “상생형 스마트공장의 정량적 성과 분석으로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의 수익성, 부가가치 및 고용 창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했다”며 “성과의 지속·확산을 위해 새 정부는 중소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역동적 혁신성장을 뒷받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