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직장인 빚 4862만원…1년새 10%나 뛰었다

통계청 2020년 근로자 부채현황

고금리 신용대출이 상승세 주도

한 시민이 대출 안내판이 걸린 은행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한 시민이 대출 안내판이 걸린 은행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나라 임금근로자들의 2020년 평균 대출이 전년 대비 10%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급등에 코로나19 쇼크까지 겹치면서 신용대출이 크게 증가해 차주들의 이자 부담이 불어났을 것으로 분석된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임금근로자 부채’ 현황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임금근로자 평균대출은 4862만 원으로 전년(4408만 원) 대비 10.3% 증가했다. 개인 평균 대출 금액은 2018년과 2019년 각각 5.1%, 5.6%씩 늘어나다가 2020년 들어 10% 넘게 많아지면서 상승률이 큰 폭으로 뛰었다.




대출 유형별로 보면 신용대출이 급증해 전체 대출 증가를 이끌었다. 개인 평균 신용대출은 1240만 원으로 전년(1041만 원) 대비 19.2%나 증가했다. 이는 주택담보대출 규제에 따른 일종의 ‘풍선 효과’와 자산시장 호황에 따른 투자 목적 자금 조달, 코로나 충격으로 인한 자영업자들의 급전 대출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반면 정부가 주담대를 틀어 잠그면서 2020년 개인 평균 주담대(1850만 원)는 전년 대비 1.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주담대 풍선 효과는 주택 외 담보대출(개인 평균 1554만 원) 증가로 이어져 같은 기간 대출 금액이 15.8%나 늘었다.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대출금이 늘면서 차주들의 이자 부담이 커졌을 것으로 보인다. 통상 신용대출은 주담대보다 금리가 높기 때문이다. 정부가 집값을 누른다는 명목으로 대출을 조이면서 서민들을 고금리 대출로 내몬 셈이다.

실제 연소득 3000만 원 이하 저소득층의 2020년 신용대출은 총 365만 원으로 전년(337만 원) 대비 약 28만 원 늘었다. 같은 기간 주담대는 971만 원에서 960만 원으로 감소했다. 다만 이번 통계에서는 평균 이자 비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2030세대의 대출이 크게 불어난 것도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29세 이하 근로자의 평균 대출금은 1466만 원으로 전년(1133만 원) 대비 29.4% 증가했다. 30대 대출은 같은 기간 5608만 원에서 6475만 원으로 15.5% 늘었다. 일명 ‘영끌’을 통한 주택 구입과 주식·암호화폐 투자 열풍 등이 2030세대 대출 증가의 원인이다.


세종=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