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단독] 대기업 반도체 세액공제 6%서 20%로 확 늘린다

인수위 "핵심기술 투자 유도"

중견 25%·中企 30%로 상향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서울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인수위원회를 나서고 있다./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서울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인수위원회를 나서고 있다./연합뉴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반도체 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비율을 대기업 기준 현행 6%에서 20%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핵심 기술에 대한 투자를 늘려 초격차를 키우겠다는 것이다.

29일 인수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부처 업무 보고 과정에서 반도체 산업 지원을 위한 시설 투자 세액공제 비율을 높이는 방안이 검토됐다. 올해 개정된 조세특례제한법상 반도체 시설 투자의 세액공제 비율은 대기업 6%, 중견기업 8%, 중소기업 16%인데 이는 반도체 패권을 놓고 정부 주도의 지원을 확대하는 미국·중국 등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인수위와 정부는 시설 투자 세액공제율과 관련해 반도체 업계의 요구 수준을 최대한 반영한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서울경제가 입수한 한 경제단체의 인수위 건의 사항을 보면 재계는 반도체 시설 투자 세액공제율을 대기업 20%, 중견기업 25%, 중소기업 30%로 제안했다. 인수위와 정부 부처 관계자는 “미국과 일본 등의 사례를 봤을 때 대기업 기준 20%의 세액공제는 무리한 수준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며 “업계의 요구를 바탕으로 세제 당국과 협의해 지원 가능한 수준을 최대치까지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반도체 설비 투자에 대해 최대 40%의 세액공제를 추진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산업 분야의 대표 공약으로 ‘반도체 초강대국’을 내세우며 “반도체를 경제안보 차원으로 접근하겠다”고 강조해왔다. 윤 당선인은 공약집에서 “4차 산업혁명, 5G·6G 가속화, 세계적인 반도체 수요 폭증으로 반도체는 슈퍼사이클에 진입했다”며 “반도체를 둘러싼 글로벌 패권 전쟁 구도가 심화하고 있는 만큼 제도·예산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