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디지털 데이터산업 거점도시' 기대감 부푸는 대구

윤 당선인 “구글 처럼 클 수 있는 스타트업, 대구청년에 의해 만들어지게 할 것” 공약

국정과제 포함 가능성 높아…대구시 ‘디지털 데이터산업 거점도시 기획단’ 꾸려 대응

윤석열(왼쪽) 대통령 당선인과 권영진 대구시장이 21일 서울 종로구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면담하고 있다. 이날 권 시장은 윤 당선인에게 대구시의 주요 공약을 국정과제로 채택해 줄 것을 건의했다. 사진 제공=대구시윤석열(왼쪽) 대통령 당선인과 권영진 대구시장이 21일 서울 종로구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면담하고 있다. 이날 권 시장은 윤 당선인에게 대구시의 주요 공약을 국정과제로 채택해 줄 것을 건의했다. 사진 제공=대구시




대구시가 핵심 전략으로 추진 중인 ‘디지털 데이터산업 거점도시’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선 공약에 포함된 후 지역사회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점하는 대구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29일 대구시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대선기간 동안 대구시와 관련해 모두 16개 공약을 내놨다. 이 중 디지털 데이터산업 거점도시는 윤 당선인이 자체 공약으로 내건 것이어서 선거기간 내내 관심을 받았다. 윤 당선인은 앞서 후보 시절 대구 두류공원 유세에서 “대구를 디지털 데이터산업의 거점도시로 만들 것”이라며 “구글과 아마존 같은 기업으로 클 수 있는 스타트업이 대구 청년들에 의해 만들어지게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디지털 데이터산업 거점도시 조성은 국가데이터허브센터를 유치해 대구를 4차 산업혁명의 전진기지로 육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소프트웨어융합클러스터, 한국뇌연구원이 소재해 의료·미래차·뇌 등 첨단 산업 데이터를 집적할 수 있어 데이터산업 육성의 최적지라는 게 대구시의 판단이다. 윤 당선인이 발표한 공약이긴 하나 권영진 대구시장이 밑그림을 그려 윤 당선인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현재 대구시는 정해용 경제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산업 거점도시 기획단을 꾸려 국정과제 채택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시는 국가데이터허브센터 건립, 글로벌데이터캠퍼스 운영, 데이터 규제자유특구 지정 등을 국정과제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한 상태다.

우선 데이타허브센터는 기관별로 산재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연계·통합, 거래·중개, 품질인증, 생산·융합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센터 건립과 고성능 컴퓨터 및 실증장비 구축에 약 4000억 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글로벌데이터캠퍼스 운영은 서울시의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를 비수도권으로 확산하는 것으로 교육 후 국내 취업 및 해외 진출을 위한 인재양성 기능을 맡게 된다.

정 부시장은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강조하는 윤 당선인의 공약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대구시가 디지털 데이터산업 거점도시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안을 만들어 전달했고 윤 당선인이 유세에서 언급하며 공식화됐다”며 “공약을 어떤 모양새로 구체화할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해 인수위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구=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