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현대건설, 국내 최초로 美 원전해체 사업 진출

美 홀텍과 원전해체 협력계약 체결

“원전해체 선진기술 축적…향후 국내 수주 교두보 마련”

28일(현지시간) 크리스 싱 홀텍사 최고경영자(CEO)와 윤영준 현대건설 대표이사 사장이 사업협력계약을 맺고 협약서를 펼쳐 보이고 있다./사진제공=현대건설28일(현지시간) 크리스 싱 홀텍사 최고경영자(CEO)와 윤영준 현대건설 대표이사 사장이 사업협력계약을 맺고 협약서를 펼쳐 보이고 있다./사진제공=현대건설






현대건설이 국내 기업 최초로 미국 원전해체 사업에 진출한다.

관련기사



현대건설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 홀텍과 인디안포인트 원전해체 사업의 PM(Project Management) 계약을 포함한 원전해체 협력 계약(Teaming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현대건설이 지난해 11월 홀텍과 소형모듈원전(SMR-160 모델) 글로벌 독점계약을 맺은 데 이어 4개월 만에 나온 추가적인 성과다.

현대건설은 이번 PM계약을 기반으로 공정 및 공사계획, 대형기기 부피감용, 화학 제염, 원자로 압력용기 및 내장품 절단 등 원전해체의 전반적인 사업 분야에 직접 참여할 예정이다. 양사는 이번 계약에서 △홀텍 소유의 미국 원전해체 사업 직접 참여 △글로벌 원자력 해체 시장 공동 진출 △마케팅 및 입찰 공동 추진 등 사업 전반에 대해 합의했다. 홀텍은 보유하고 있는 인디안포인트 원전과 오이스터크릭 원전, 필그림 원전 등을 해체하는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홀텍과의 협력으로 원전해체 사업의 초기단계부터 참여해 선진기술을 축적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하고 있다. 또한 향후 발주될 국내 원전해체 사업을 수주하기 위한 교두보를 마련한 것으로 자평했다.

현대건설이 첫 번째 PM으로 참여할 인디안포인트 원전은 총 3개호기(2317MW 용량)의 가압경수로 타입으로, 1962년 10월 1호기가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지난해 4월 3호기까지 영구 정지된 뒤 5월에 홀텍으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윤영준 현대건설 사장은 “홀텍사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사업다각화와 신사업 핵심 경쟁력을 확보했다”며 “앞으로도 SMR 등 에너지 전환 신사업 등을 미래 핵심 경쟁력으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