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포스코인터, 호주 세넥스에너지 인수…천연가스 확보·에너지전환 발판 마련

4052억 들여 홀딩스 출범후 첫 M&A

수소 산업 등 전략적 진출 계획도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인수한 세넥스에너지의 육상가스전 생산 시설. 사진 제공=포스코인터내셔널포스코인터내셔널이 인수한 세넥스에너지의 육상가스전 생산 시설. 사진 제공=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호주 에너지 기업 세넥스에너지의 인수를 완료하고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착수했다. 세넥스에너지 인수는 포스코그룹이 지주사 체제로 전환한 후 단행한 첫 글로벌 인수합병(M&A)이자 해외 자원 확보에 성공한 사례여서 주목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31일 세넥스에너지 인수와 관련된 호주 현지 주주총회 및 정부 승인 절차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포스코인터내셔널은 4억 4242만 호주달러(약 4052억 원)을 투자해 세넥스에너지 지분 50.1%를 취득한다. 주당 취득가는 4.6호주달러다.

세넥스에너지는 호주 석유·가스 분야 5위 기업으로 퀸즐랜드주에 3개의 가스전(아틀라스·로마노스·루이지애나)을 보유하고 있다. 생산된 가스를 호주 동부의 액화천연가스(LNG) 액화플랜트와 가스 발전소 등에 판매하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가스전 외에도 로키바·아르테미스 등 2개의 탐사 광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탐사에 성공할 경우 추가적인 천연가스 확보가 가능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세넥스에너지의 연간 생산량은 약 200억 세제곱피트이며 지난해 매출 1억 1600만 호주달러(약 1070억 원), 영업이익 2500만 호주달러(약 230억 원)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세넥스에너지 인수를 계기로 글로벌 톱티어 에너지사로 도약하고 그룹의 ‘리얼밸류’ 경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세넥스에너지를 통해 포스코그룹이 중점 추진하는 수소 산업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보유 가스전을 활용하면 블루수소 사업이나 탄소포집저장(CCS) 사업으로 확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세넥스에너지를 통해 가스전을 추가 개발하고 이 가스를 LNG로 전환해 국내에 공급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 계획이 현실화되면 국내 에너지 안보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세넥스에너지 인수로 확보한 천연가스 매장량은 약 8020억 입방피트로 2019년 기준 우리나라 한 해 천연가스 소비량인 1조 9000억 입방피트의 44%에 해당한다.

주시보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은 “세넥스에너지 인수는 단기적으로는 천연가스 추가 매장량 확보, 중장기적으로는 에너지 전환과 탄소 중립이라는 미래 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그룹의 물류 전문 회사인 포스코터미날은 29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사명을 ‘포스코플로우’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새 사명에는 친환경·스마트 물류 기업으로서 상생 활동을 통해 물류 산업에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나가겠다는 의미가 담겼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