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방과후 교사·행정인력까지 투입했지만…"결국 봄 방학해요”

■코로나 여파에 유치원도 인력난

대체인력 투입으로 아이들 혼란 가중

서울 중구 장충유치원에서 아이들이 부모의 손을 잡고 등원하고 있다. 연합뉴스서울 중구 장충유치원에서 아이들이 부모의 손을 잡고 등원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진자 폭증에 유치원이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다. 교사가 잇따라 확진되고 있지만 대체 인력을 구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급한대로 행정 직원까지 동원해 빈 자리를 메우고 있지만 이마저 여의치 않은 곳은 예정에 없던 ‘봄 방학’을 명분으로 문을 닫고 있다.



3일 서울특별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일주일 동안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교직원은 4712명에 달한다. 하루 평균 약 673명씩 확진됐다. 격리 조치로 결원이 생기면 나머지 교사들이 추가 업무를 하는 식으로 공백을 채우고 있다. 최근에는 방과후 교사, 유치원 행정 인력까지 돌봄 업무에 투입되고 있다.

관련기사



서울 한 유치원에서 일하는 김 모(25) 씨는 “5일만 일해주는 사람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에 교사 중 확진자가 발생하면 선생님들이 시간을 쪼개 다른 반 아이들까지 돌본다”며 “행정실 선생님까지 투입됐지만 교사 확진이 계속되면서 일이 계속 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 한 유치원은 지난 한 달 동안 정교사 10명 중 6명이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아예 휴원했다. 익명을 요구한 유치원 관계자는 “갑작스러운 상황에 휴원이 불가피했다”며 “결국 예정에 없던 봄 방학을 당겨 3일 동안 유치원 문을 닫은 적이 있다”고 말했다.

확진자를 제외한 나머지 인력에 업무가 과중되면서 교사들이 눈치를 보다 일을 관두는 경우도 나온다. 서울의 한 유치원에서 근무했던 정 모(27) 씨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다른 교사들의 눈치가 보여 퇴사를 결정했다. 정씨는 “임용 직후 가족이 확진돼 격리 기간을 가졌는데 얼마 뒤 바로 확진 판정을 받아 또 격리해야 했다”며 “다른 교사들과 원장의 눈치가 보여 고민 끝에 퇴사했다”고 말했다.

새 학기가 시작된 시점에 갑자기 담임 교사가 바뀌거나 대체 인력을 찾는 일이 잦아지면 아이들이 유치원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우려도 나온다. 적응도 제대로 못 한 상태에서 낯선 선생님이 등장하면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체 인력 풀을 넓히는 방안을 마련했지만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현장이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을 것 같다”며 “지난 2월부터 교육 재정으로 현장에 파견할 수 있는 기간제 교사를 확보하는 등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남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