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MZ세대 10명 중 6명 “비싸더라도 착한 기업 제품 구매”

대한상의, MZ세대 38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공개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 세대) 10명 중 6명은 물건을 구매할 때 더 비싸더라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의 제품을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MZ세대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4.5%가 ‘ESG를 실천하는 착한기업의 제품이 더 비싸더라도 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고 3일 밝혔다.



ESG 우수기업 제품을 구매할 때 경쟁사 동일 제품보다 얼마나 더 지불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65.7%는 5% 미만, 29.8%는 5~10%라고 각각 답했다. 10% 이상을 추가로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도 4.2% 있었다.

관련기사



이재혁 고려대 ESG연구센터장은 “가성비보다 가심비(가격대비 심리적 만족)를 중요시하는 MZ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르면서 신념에 따른 소비가 확산하고 있다”며 “기업의 ESG 이슈가 쉽게 대중들에게 공유될 수 있는 만큼 기업들이 ESG 경영에 더욱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기업의 바람직한 역할에 대해서는 ‘투명·윤리경영 실천’이 51.3%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일자리 창출’(28.9%), ‘환경보호’(13.2%) 등의 순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ESG 경영에 대한 대응을 가장 잘하는 국내 기업으로는 삼성과 SK, LG, 오뚜기, 유한킴벌리, 풀무원, 현대차 등이 거론됐다.

향후 ESG 경영 확산을 위해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는 물음에는 ‘국민인식 향상’(38.4%), ‘정부의 법·제도적 지원’(27.9%), ‘대기업의 솔선수범 실천’(27.6%) 등이 꼽혔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최근 ESG 이슈가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면서 기업의 역할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변화했고, 사회공헌이나 투명·윤리경영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며 “우리 기업들도 ESG 경영 실천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