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현대重 또 사망산재…노조 "3000억 안전예산, 어디에 쓰나"

기자회견 열고 안전체계 수립에 노조 참여 촉구

민주노총과 금속노조가 5일 고용부 울산지청 앞에서 현대중공업의 반복되는 사망산재를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제공=금속노조민주노총과 금속노조가 5일 고용부 울산지청 앞에서 현대중공업의 반복되는 사망산재를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제공=금속노조




현대중공업 근로자들이 반복된 사망 산업재해 원인으로 사측의 불투명한 안전예산 집행을 지적하고 나섰다. 작업현장을 가장 잘 아는 근로자와 안전체계를 만들지 않으면서 사망 산재가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민주노총과 금속노조는 5일 고용노동부 울산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중공업은 안전예산 3000억원을 투자해 중대재해를 줄이겠다고 했다"며 "하지만 안전예산이 어디에 쓰이는지 노조가 자료를 요구해도 돈의 행방을 알 수 없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1일 현대중공업 울산공장에서 폭발사고로 근로자 1명이 사망했다. 올해 1월에도 현대중공업에서는 끼임사고로 근로자가 목숨을 잃는 사고가 일어났다. 지금껏 현대중공업의 사망산재로 인해 473명이 목숨을 잃었다. 1일 폭발사고 당시 안전교육, 작업계획서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이 지켜지지 않았다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

노조는 현대중공업의 안전관리체계가 전반적으로 부실해 이 같은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현장을 잘 아는 근로자의 참여가 안전체계 수립 과정에서 배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고용당국의 안전감독 의지도 낮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올해 4곳의 조선소에서 4명의 노동자가 사망했지만, 단 한 명도 구속되지 않았다"며 "현대중공업은 노조를 참여시켜 위험성평가를 하는 등 근본적인 안전대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