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의료체계 일상회복 시동…감염병 병상 30% 줄인다

7000여개 일반 격리병상 전환

누적 확진자 1500만명 돌파

지난달 27일 오후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서 의료진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연합뉴스지난달 27일 오후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서 의료진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일상 의료 체계 전환 차원에서 감염병 전담 병원 병상과 경증 코로나19 환자가 입소하는 생활치료센터를 단계적으로 축소한다.

관련기사



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8일부터 현재 2만 4618개의 30% 수준인 7000여 개 병상을 일반 격리 병상으로 전환하고, 생활치료센터는 가동률 추이와 병상 현황 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감축한다”고 밝혔다.

오미크론 변이 특성상 대다수 확진자가 경증이고, 재택치료가 대폭 확대되면서 생활치료센터와 중등증 병상 수요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실제 감염병 전담 병원의 중등증 병상 가동률도 2월 27일 기준 54.3%까지 올랐다가 서서히 하락세를 보이면서 8일 기준으로 35.0%까지 내려왔다. 감염병 전담 병원의 중등증 병상이 일반 격리 병상으로 전환되면 일반 환자뿐만 아니라 외래진료센터나 일반 병·의원에서 의뢰된 코로나19 환자 등 호흡기 환자도 입원이 가능하다. 전환된 일반 격리 병상에 대해서는 손실보상금을 지급하지 않고 상급종합병원 54만 원, 종합병원 32만 원 등의 수가를 한시적으로 지원한다.

생활치료센터 역시 가동률이 뚝 떨어졌다. 올 1월 30일 기준 가동률이 50.9% 수준이었지만 재택치료가 전면 확대된 2월 이후부터는 20% 중반대까지 떨어졌으며 8일 기준으로는 18.4%를 기록했다. 한편 이날 오후 9시 기준으로 국내 누적 확진자는 1516만 5837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인구 중 약 30%가 감염된 셈이다.


왕해나 기자·김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