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친중·친러’ 파키스탄 총리 불신임… 국제 정세 파장 예고

임란 칸 파키스탄 총리. AFP연합뉴스임란 칸 파키스탄 총리. AFP연합뉴스




임란 칸 파키스탄 총리가 의회 투표에서 불신임을 받으며 불명예 퇴진을 하게 됐다. 현직 총리가 불신임으로 물러난 것은 파키스탄 헌정 사상 처음이다. 그간 중국·러시아와 유대 관계를 쌓아온 파키스탄에서 전격 정권 교체가 벌어지면서 국제 정세에도 파장이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0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파키스탄 하원은 이날 투표를 진행한 결과 재적 의원 342명 가운데 174명이 찬성해 총리 불신임안이 가결됐다고 밝혔다. 전날부터 투표를 강행하려는 야당과 이를 막으려는 여당 사이 격렬한 대치가 10시간 이상 벌어졌고, 자정을 넘긴 새벽에야 투표가 치러질 정도로 상황은 긴박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차기 총리에는 야권 지도자인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무슬림연맹(PML-N) 총재가 가장 가능성이 높은 후보로 거론된다.



인기 크리켓 선수 출신으로 2018년 총선에서 승리해 집권한 칸 총리는 파키스탄 경제 사정이 악화하며 민심을 잃었다. 파키스탄의 대외 채무는 오는 6월 103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될 정도로 국가가 빚에 허덕이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1년 전 대비 12% 이상 급등하며 물가마저 치솟고 있다. 경제가 불안해지자 민심은 돌아섰고, 야권은 칸 전 총리에 대한 불신임 결의를 추진해왔다.

관련기사



여기에 칸 총리가 이끄는 여당 테흐리크-에-인사프(PTI) 소속 의원 수십명마저 불신임 찬성표를 던지겠다며 등을 돌리고, 연정 핵심 파트너인 MQM-P 등도 야권에 가세하면서 칸 총리에 대한 불신임안 통과는 사실상 초읽기 상태였다. 칸 총리도 의회 해산과 조기 총선으로 맞서며 국면 전환을 시도했지만 판세를 다시 뒤집기는 역부족이었다. 블룸버그는 “하원은 오는 11일 다시 소집돼 야권 지도자인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무슬림연맹(PML-N) 총재를 차기 총리로 선출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칸 총리의 퇴진으로 파키스탄을 둘러싼 주변국 간 역학 관계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인구 2억명이 넘는 ‘핵 보유’ 군사 강대국인 파키스탄은 동쪽으로는 중국과 인도, 서쪽으로는 아프가니스탄에 맞닿은 지리적 요충지로 꼽힌다. 칸 총리는 그간 ‘친중·친러’ 행보를 보이며 미국·서방과는 선을 긋는 외교 기조를 취해왔다. 칸 총리는 최근 우크라이나 침공을 벌인 러시아를 옹호하는 발언을 한 바 있다.

중국의 경우 히말라야에서 국경 분쟁을 벌이고 있는 인도를 견제하기 위해 무기 지원을 확대하는 등 파키스탄을 끌어들였다. 파키스탄이 인도와 전통적인 ‘앙숙’ 관계임을 이용한 것이다. 또 파키스탄은 과거 미국과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이슬람 무장세력 탈레반과 가교 역할을 해왔으나 2018년 칸 총리 집권 이래 반미 전선이 형성되면서 현재는 카타르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정권 교체로 ‘친중·친러·반미’ 기조가 뒤집힐 수 있는 것이다. AFP통신은 “정치적 위기가 칸 정부의 퇴진으로 이어질 경우 파키스탄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이웃 국가들을 중심으로 국제사회 커다란 격변이 예상된다”고 평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