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세계은행 "우크라 올 GDP 반토막 날 것"

우크라 45%·러는 11% 감소 전망

러, 올해 남은 기간 국채 발행 중단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의 북서쪽 소도시인 브로댠카 주민들이 5일(현지 시간) 러시아군의 공격으로 파괴되고 벽면이 검게 그을린 아파트 앞을 걸어가고 있다. AP연합뉴스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의 북서쪽 소도시인 브로댠카 주민들이 5일(현지 시간) 러시아군의 공격으로 파괴되고 벽면이 검게 그을린 아파트 앞을 걸어가고 있다. AP연합뉴스




러시아의 무차별 공격으로 초토화되다시피 한 우크라이나의 경제 규모가 올해 반 토막 수준으로 쪼그라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서방의 고강도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 경제도 크게 뒷걸음질 칠 것으로 예상됐다.



세계은행은 우크라이나의 올해 국내총생산(GDP)이 지난해보다 45.1%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1일 보도했다. 러시아 GDP도 올해 11%가량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관련기사



세계은행은 “양국 간 전쟁은 민간인 희생은 물론 경제에도 ‘파괴’ 수준의 타격을 주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수출 통로인 흑해 지역을 봉쇄하면서 경제적 피해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 세계은행의 분석이다. 세계은행은 "우크라이나 경제가 어디까지 하락할지는 전적으로 전쟁 기간과 강도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전쟁의 영향으로 유럽과 중앙아시아 등 인접 지역의 올해 경제 역시 4% 이상 후퇴할 것으로 보인다고 세계은행은 예상했다.

이런 가운데 러시아 정부는 올해 남은 기간에 국채 발행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 안톤 실루아노프 러시아 재무장관은 “서방의 제재로 채권 차입 비용이 ‘우주적’으로 커졌다”며 더 이상의 국채 발행이 무의미하다고 밝혔다. 앞서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러시아의 국가신용등급을 디폴트(부도) 직전 단계인 ‘선택적 디폴트(SD)’로 강등하는 등 국제 채권 시장에서 러시아 채권은 ‘초위험 자산’으로 분류되고 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