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교통안전공단 렌트카 음주운전방지장치 시범운영


한국교통안전공단은 렌터카 음주사고 예방을 위해 음주운전 방지장치가 부착된 차량을 대여해주는 시범운영 사업을 한다고 11일 밝혔다.


렌터카는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특성으로 운전자 관리에 한계가 있어 지난해, 광주에서는 고등학생이 렌터카에 8명을 태운채 음주운전을 하는 등 대형 사고가 발생해 왔다.

최근 5년간(2016~2020년) 사업용 자동차 교통사고 사망자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화물 1,137명(35.9%), 택시 840명(26.5%), 버스 686명(21.7%), 렌터카 505명(15.9%)으로 렌터카 사망자가 가장 적었으나, 음주사고 사망자는 렌터카 83명(65.4%), 화물 22명(17.3%), 택시 17명(13.4%), 버스 5명(3.9%)으로 렌터카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 렌터카 10만대당 음주운전 사망자수는 2.2명으로 비사업용 승용차 1.3명에 비해 1.8배 많이 발생했고 같은기간 비사업용 승용차 사망자는 13.1% 감소한 반면, 렌터카는 11.4% 증가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시동 전에 음주측정 단계를 거치도록 시동이 제한되는 렌터카 시범사업이 진행된다.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미국, 스웨덴 등 해외에서 음주운전 경력자를 대상으로 운영중으로, 공단은 시범 사업을 거쳐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효과와 문제점, 국내 적용 방안 등을 연구할 계획이다.





김천=이현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