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NIPA, ‘2022년 산업연계형 디지털 전환 전문기업 육성 사업’ 최종 과제 선정

제조ㆍ유통ㆍ서비스 등 각 산업별로 9개 선정… 솔루션 수요기업에 대한 실증(PoC) 및 해외진출 지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허성욱, 이하 ‘NIPA’)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NIPA에서 실시하는 ‘2022년 산업연계형 디지털 전환 전문기업 육성 사업’의 9개 과제를 최종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중소ㆍ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 역량을 높이기 위해 각 산업에서 필요한 디지털 전환 솔루션을 개발하는 전문(공급)기업의 육성을 목표로 올해 첫 시행된다. 각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전환 전문(공급)기업의 유망 솔루션을 발굴하고, 솔루션 수요기업에 대한 실증(PoC) 및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NIPA는 산업 수요 기반의 유망 디지털 전환 솔루션 발굴 및 실증에 22.5억 원, 솔루션 실증에 참여한 디지털 전환 전문(공급)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에 13.5억 원 등 총 36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이번 산업연계형 디지털 전환 전문기업 육성 사업에는 제조ㆍ유통ㆍ조선ㆍ에너지ㆍ정보통신ㆍ의료ㆍ관광ㆍ소방 등 다양한 산업 분야별로 적용할 수 있는 9개 과제와 함께 ▲(주관) 에스넷시스템㈜ ▲(참여) ㈜휴비즈아이씨티 ▲(주관) ㈜무브 ▲(주관) ㈜스마트선박벤처기술 등 총 9개 과제, 10개 수행기관이 선정됐다. 9개 과제 중, 8개 과제는 단독수행, 1개 과제는 2개 수행기관이 컨소시엄으로 추진된다.


분야별 선정 과제를 살펴보면 인공지능(AI) 기반 실시간 제조 설비 에너지 최적화 서비스 플랫폼(제조 분야), 빅데이터/모빌리티 기반 글로벌 여행 서비스 플랫폼(관광 분야), 모바일 기반 선박 품질관리 올인원 워크스페이스(조선 분야) 등 데이터, 인공지능과 관련된 디지털 기술 기반의 혁신적인 기업들이 관심을 끌었다.

관련기사



이번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된 디지털 전환 솔루션 전문(공급) 기업은 실증 수요기업을 대상으로 각 솔루션 구현 및 적용 타당성 실증을 지원받게 된다. 실증 비용은 각 기업별로 최대 2.5억 원이며 유망성ㆍ확산성ㆍ수출 가능성을 고려해 우수 솔루션은 향후 산업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를 통해 국내 중견기업 등의 수요처에 보급ㆍ확산할 계획이다.

또한 해외 수출 가능한 유망 디지털 전환 솔루션 기업의 해외 시장 조기 선점 및 해외 매출 확대 등을 위해 디지털 전환 솔루션 실증 지원과 병행해 글로벌 현지 서비스화 및 현지 비즈니스 연계 등과 관련한 해외진출을 지원한다.

해외진출의 경우 본투글로벌센터를 통해 솔루션 현지화 및 해외 수요기업 연계를 지원하며 해외시장 조사, 해외진출 전략 수립, 해외시장 검증 지원, 현지화 지원 등 기업별 수요를 기반으로 단계별로 지원한다.

NIPA 사업 관계자는 “각 산업 수요에 맞춰 적용 가능한 디지털 전환 솔루션을 개발하는 전문(공급)기업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본 사업을 통해 디지털 전환 전문(공급)기업을 집중 육성해 전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확대하는 기반을 마련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