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美 전기차 공략 나선 현대차…선봉장은 'GV70' [뒷북비즈]

12월 앨라바마 공장서 GV70 전동화모델 생산

2025년까지 미국 내 전기차 생산에 9조 투자

바이든 정책 호응하며 美 전기차 시장 선점 포석





현대차(005380)그룹이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해 현지 전기차 생산에 본격 착수한다. 시장 공략의 선봉으로는 프리미엄 브랜드인 제네시스의 ‘GV70’ 전동화 모델을 낙점했다. 미래차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해 현대차그룹은 미국에 2025년까지 74억 달러(약 9조원) 투자에 나설 계획이다.



현대차미국공장(HMMA)은 12일(현지 시간) “앨라바마 공장에서 싼타페 하이브리드(HEV)를 올 하반기에 생산할 것”이라며 “현대차가 미국 내 전기차 생산을 시작한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싼타페 HEV는 가솔린엔진과 모터가 결합된 차로 생산 시점은 올 10월이 유력하다.

본격적인 전기차는 12월로 예상되는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부터 생산될 전망이다.



이번 GV70 전동화 모델의 현지 생산은 현대차그룹이 2025년까지 미국 내 전기차 생산 설비 확충에 9조 원(74억 달러)을 투자하겠다고 지난해 밝힌 계획의 일환이다. 연산 37만 대 규모의 준중형 세단·스포츠유틸리티차(SUV) 등 내연기관을 생산하는 앨라배마 공장에 설비를 확충해 전기차 라인을 추가하게 된다. 이번 조치로 현대차 해외 공장 가운데 전기차 생산이 가능한 곳은 중국·인도·체코·인도네시아에 이어 미국까지 다섯 곳으로 늘어나게 됐다.

관련기사



현대차의 이번 결정은 미국 내 전기차 시장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포석이다. 여기에 자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과 전기차 판매 확대를 꾀하고 있는 미국 바이든 정부의 정책에 호응하겠다는 목표도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미국 승용차 중 전기차 비중은 2030년 15%에서 2040년 46%로 늘어날 전망이다. 2040년이 되면 미국 내 판매되는 신차 중 84%가 전기차로 채워질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 속에서 현대차는 미국 내 입지 강화를 위해 전기차 생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 달 ‘CEO 인베스터데이’를 통해 2030년 미국 시장에서 53만대의 전기차를 판매해 미국 내 전기차 점유율을 11%까지 올리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이번 결정에 따라 현대차의 미국 내 전기차 전용 공장 건설 논의에도 가속이 붙을 전망이다. 조지아주를 비롯해 테네시,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등이 후보군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E-GMP)를 장착하는 아이오닉7과 EV9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현대차그룹은 바이든 정부의 ‘바이 아메리칸(Buy American)’ 정책에 따라 배터리 등 미국내 자동차 부품 생산도 확대할 전망이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