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성남시, 교통약자 위한 ‘상생형 공공 마스(MaaS)’개발…2025년 말 본격화

버스·택시·철도 등 정보 통합해 최적·최단 경로 안내

성남시청 전경성남시청 전경




성남시는 오는 2025년 말까지 교통약자를 위한 통합 교통서비스인 ‘상생형 공공 마스(MaaS·Mobility as a Service)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마스는 버스·택시·철도·공유 차량 등 다양한 이동 수단에 대한 정보를 통합해 사용자에게 최적·최단의 경로를 안내하는 모빌리티 서비스다.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고자 할 때 최적의 이동 수단과 최단의 환승 구간, 소요 시간, 전용 리프트, 전용 엘리베이터 설치 장소 등의 정보를 특정 앱을 통해 제공하는 방식이다.

관련기사



대중교통 요금도 미리 결제할 수 있다.

시는 이 서비스 개발에 10억원을 투입한다.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국토교통 데이터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구축 공모 사업’에 선정돼 확보한 국비다.

시는 마스 개발과 상용화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주)모토브와 지난 2월 컨소시엄을 구성한 상태다.

교통약자 이동패턴 분석 딥러닝 모델과 이동 수단 매칭 전용 앱을 개발한 뒤 시범 운영 기간을 거쳐 목표 시점(2025년 말)까지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