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같은 업무, 같은 임금 달라"…연세대 직원들 집단소송 패소

"업무 일부 유사하지만 같은 노동 가치인지는 따져봐야"

연세대 미래캠퍼스. 사진=연세대학교 제공연세대 미래캠퍼스. 사진=연세대학교 제공




연세대 행정사무직 직원들이 행정관리직과의 임금 차이가 부당한 차별이라며 학교를 상대로 소송을 냈지만 패소했다.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서부지법 민사합의11부(박태일 부장판사)는 연세대 미래캠퍼스 행정사무직 직원 83명이 각자의 임금 차액 4000만∼5000만 원대, 총 약 40억 8000만 원을 지급하라며 학교법인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



연세대는 2013년 행정사무직을 신설해 무기계약직 직원을 이 직군으로 분류하면서 정규직으로 편입했다. 종전 정규직 직원은 행정관리직으로 분류했다. 행정관리직은 2005년 이후 신규 채용되지 않았다.

관련기사



재판부에 따르면 두 직군에는 각기 다른 보수 규정이 적용됐다. 행정관리직이 일반적으로 행정사무직보다 높은 총급여를 받고, 근무 경력이 길어질수록 차이가 더 벌어졌다. 이에 행정사무직 83명은 “학교는 2018년 이후 행정관리직과 비교해 지급받지 못한 통합·정근수당 등의 임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며 지난해 1월 소송을 냈다. 당시 이들은 “행정사무직이라는 직군이 본인 의사와 능력 발휘로 회피할 수 없는 사회적 신분”이라며 이를 이유로 수당을 적게 받은 것은 위법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재판부는 학교의 손을 들어줬다. 행정사무직렬 분류가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사회적 신분’으로 인정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재판부는 “원고들의 지위가 사회에서 쉽게 변경할 수 없는 고정적인 지위라거나 근로자의 특정한 인격과 관련된 표지로, 일정한 사회적 평가를 수반하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고 봤다. 이어 “행정사무직과 행정관리직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비교집단에 속한다거나 차별 대우에 있어 합리적인 이유가 없다고 인정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행정관리직도 실무를 담당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업무의 성격이나 내용이 행정사무직과 크게 다르지 않고, 두 직군에 동일한 업무분장이 되어 있거나 인사발령 이후 교대로 같은 업무를 맡아온 사례도 있는 점을 들어 일부 업무가 유사하다는 점은 인정했다.

다만 재판부는 “동일 가치의 노동인지는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과 작업조건을 비롯해 근로자의 학력·경력·근속연수 등의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해야 한다”는 2020년 대법원 판례를 참조해 두 직군의 차이를 인정해야 한다고 봤다.

강동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