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모비스 ‘엠브레인’ 졸음운전 위험 30% 뚝

세계 최초 '뇌파 기반 신기술'

운전자 부주의 등 실시간 감지

경기공공버스 1년 시범 적용

빅데이터 확보로 경쟁력 강화

현대모비스가 지난해 세계 최초로 개발한 뇌파 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엠브레인’.현대모비스가 지난해 세계 최초로 개발한 뇌파 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엠브레인’.




현대모비스(012330)가 개발한 뇌파 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기술을 활용하면 졸음운전 등 위험 상황을 30%가량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체 신호를 활용한 차량 사고 예방 기술이 속속 도입되는 가운데 뇌파 분야의 기술 개발을 넘어 대규모 데이터까지 확보하게 됨에 따라 대형 교통사고 저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모비스는 경기연구원과 지난 1년간 경기도 공공버스에 ‘엠브레인(M.Brain)’을 시범 적용하고 그 효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 운전자의 졸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식후 시간대 ‘부주의’를 30% 가까이 낮췄다고 18일 밝혔다. 부주의란 졸음운전이나 전방을 주시하지 못하는 위기 상황을 의미한다. 고속도로에서도 운전자 부주의가 20%가량 감소하는 효과가 확인됐다.

관련기사



엠브레인은 지난해 현대모비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뇌파 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이어셋을 착용하고 귀 주변의 뇌파를 통해 운전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기술이다. 주의력이 떨어지면 시각과 청각·촉각 등에 대한 알림으로 주의력 회복을 돕는다.

운전자가 한눈을 파는 상황에서 빠르게 전방을 주시하도록 하는 효과도 확인됐다. 엠브레인이 운전자의 부주의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목 주변의 스피커나 진동 시트 등으로 경고를 주는 방식이다. 보통 운전자가 한눈을 팔다 전방을 주시하기까지 6.7초 정도가 걸리지만 엠브레인을 착용하면 최대 2.3초 만에 주의력을 회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엠브레인 실증 사업은 실제 교통 상황에서 운전자의 건강 상태와 주행 환경에 따라 뇌파 신호가 반응하는 형태와 관련한 유효한 데이터를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차량용 헬스케어 부문에서 동공·맥박 등 상대적으로 측정하기 쉬운 생체 신호 기술을 활용해 자율주행 신기술을 선보이는 경쟁사들과 달리 한 단계 높은 뇌파 기술 분야에서 대규모 데이터를 확보하게 됐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차량용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실도로를 주행하며 획득한 데이터가 핵심 경쟁력”이라며 “올해 말까지 300여 대의 공공버스에 엠브레인 적용을 확대해 실증 범위를 넓히고 딥러닝 기술을 도입해 분석 작업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