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메이크봇, 잇단 대학 챗봇 오픈… “스마트 캠퍼스 시대 선도!”















AI 챗봇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인공지능(AI) 전문 기업 메이크봇(대표 김지웅)이 연성대학교의 입학생, 재학생 모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홈페이지와 챗봇을 연동시켰다고 밝혔다.


연성대학교 챗봇은 모든 학생들에게 교내 시설 및 다양한 활동 등에 대해 상세한 안내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학과 내 필요한 시간표, 교육 과정, 교수 소개를 시작으로 교내 편의시설까지 필요한 정보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평생교육원에서는 평생교육 신청도 챗봇으로 관리할 수 있어 22학번 신규 입학생들에게 보다 편안한 캠퍼스라이프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관련기사



연성대학교는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ADVANCE+ 2022’의 7대 발전전략과 46개 실행과제를 실행에 옮기며, ‘2022년 국내 직업교육 우수대학 TOP5’ 달성을 통해 대학의 비전이 구체화 및 현실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데이터 기반 교육의 질 관리 체계를 고도화함에 있어 AI 기반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이크봇의 챗봇 연동에 힘입어 편리함과 학생들의 다양한 관리 체계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메이크봇은 자체 개발한 대학교 특화 챗봇 구축을 통해 `스마트 캠퍼스 시대`를 선도하고 있으며, 신규 입학생뿐만 아니라 재학생, 휴학생 등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문의에 대해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자동화하고 있다.

메이크봇 김지웅 대표는 “학사 중심의 초기 대학 챗봇들과는 달리, 최근에는 입학안내용, 도서관용, 심리상담용, 취업상담용 등 대학 챗봇 서비스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도입 대학의 형태나 예산 규모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며 “각 대학의 예산 규모나 이용 대상과 도입 목적,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등 기술환경에 따른 각 대학의 맞춤형 챗봇 서비스들이 앞으로도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마이스터대학의 선구자이자, 전문대학 브랜드 평판의 최상위권을 달리고 있는 연성대학교가 향후 다양한 챗봇 서비스 제공과 고도화를 통해, AI 및 챗봇을 중심으로 한 대학가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있어서도 다시 한번 선구자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메이크봇은 대한항공, CJ온스타일, 롯데칠성 등 주요 기업 및 공공기관의 챗봇 외에도 연성대, 한양대, 고려대, 연세대, 부산외대, 청주대, 서울여자간호대, 기독간호대, 인제대 등 주요 대학의 챗봇 서비스와 함께, 수도권역 원격교육지원센터, 학점인정 컨소시엄, 지멘스의 교과 학습 지원 서비스 등 수십여 대학 관련 챗봇 서비스를 개발 및 공급해오고 있다.

특히 주요 대학 챗봇 공급 업체 중 유일하게 카카오 챗봇 공식 대행사라는 이점을 살려 웹, 모바일웹을 포함하여 카카오 UI/UX에 최적화시켜 학생들의 사용성을 높이고 있다는 것도 특징이다.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