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가습기살균제 피해단체, "피해보상 제대로 못 받고 끝나" 2기 조정위 촉구

"옥시·애경 조정안 반대, SK 추가 분담 안 해"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이 11일 서울 마포구 애경타워 앞에서 열린 애경 불매운동 기자회견에서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이 11일 서울 마포구 애경타워 앞에서 열린 애경 불매운동 기자회견에서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 조정안과 이를 위한 조정위원회의 활동기한 연장이 사실상 무산된 데 대해 피해자 단체가 ‘2기 조정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촉구했다.



피해자 단체 ‘빅팀스’는 18일 입장문을 통해 “조정금액의 60% 이상을 부담해야 하는 옥시와 애경이 동의하지 않아 조정안 실행이 어려운 상황에서 SK케미칼 등은 조정위에 피해구제법상의 분담 비율을 넘어서는 금액을 부담할 수 없다는 답변을 해왔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피해자 단체는 정부·피해자·기업 모두 참여한 2기 조정위를 구성하고 국가가 책임을 인정하고 진상을 규명할 것 등을 요구했다.

서울YMCA 시민중계실도 이날 성명을 통해 옥시와 애경에 조정안을 수용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두 기업이 최종 조정안을 불수용함에 따라 피해자들에게 남은 것은 험난한 민사소송뿐이다”며 “옥시·애경의 후안무치한 행태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앞서 조정위는 7027명의 조정 대상 피해자에게 최대 5억 3500만 원을 지급하는 최종 조정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옥시레킷벤키저·애경산업이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 가습기살균제 참사 11년 만의 피해구제 조정은 사실상 무산됐다. 조정위는 피해자 및 기업 대표들과 조정위의 활동 기한 연장을 논의했으나 이마저도 옥시와 애경의 불참으로 무산됐다. 조정위는 이달 30일 활동을 마칠 예정이다.

강동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