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화이자 백신을 맞은 뒤 생성된 항체가 같은 메신저 리보핵산(mRNA) 계열인 모더나 백신보다 빠르게 감소한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18일(현지시간) 미국 버지니아대학교 연구팀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체내에 남아있는 코로나19 항체를 추적한 연구에서 이같은 결과가 도출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해당 연구는 지난 2020년 12월 21일부터 2021년 5월 1일 사이에 화이자를 비롯해 모더나, 얀센 백신으로 기본접종을 완료한 234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참가자 가운데 화이자를 맞은 사람은 114명, 모더나 114명, 얀센은 6명이었다.
내용을 살펴보면 2차 접종을 마친 뒤 7~20일 사이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접종자는 얀센 접종자보다 항체 수치가 약 50배 더 높았다. 이후 두 mRNA 백신 접종자에서 항체 수치가 떨어지기 시작했지만 화이자 감소세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6개월 뒤 다시 분석한 결과 화이자 접종자의 코로나19 항체 수치는 병원에 입원했던 중증 코로나 환자나 모더나 백신 접종자보다 낮았다.
연구팀은 두 백신 간 항체 반응 차이를 투약량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성인용 화이자 백신 1회분당 투여하는 유효물질은 30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그램)인 반면 모더나 백신은 백신당 100㎍이다.
또한 화이자 백신 접종자는 나이가 많을수록 항체 생성률이 낮았지만 모더나는 나이가 항체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접종 후 생성된 코로나19 항체 최고 수치는 유사했다.
이와 관련, 연구팀은 "항체가 만으로 백신 효과를 평가하기엔 부족하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항체수치는 백신을 맞았거나 질병에 걸린 뒤 자연적으로 감소하지만, 체내 면역체계는 바이러스에 다시 감염됐을 때 필요한 항체를 다시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모더나에서 나타난 더 큰 항체 반응이 실제로 더 나은 보호 효과를 의미하는지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이번 연구 결과가 서로 다른 백신 접종을 받은 사람 사이에서 나타나는 코로나19 감염률 차이를 설명하는데는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 사용한 백신 3종 모두 코로나 감염 후 환자들의 중증화·입원, 사망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충분한 성능을 보였다"면서 "의료진과 정책 입안자가 백신별로 추가접종이 필요한 시기를 정하거나 대상자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