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동국제약, 美 위스콘신대와 항암 신약 공동 개발 연구 협약

약물전달체-펩타이드 복합체 최적화 연구

"3세대 면역항암제 이상 치료제 개발 기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동국제약 신사옥 전경. 사진 제공=동국제약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동국제약 신사옥 전경. 사진 제공=동국제약




동국제약(086450)이 미국 위스콘신주에 위치한 세계적인 명문 위스콘신대-매디슨과 신약연구, 제품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협약 체결에 따라 위스콘신대는 ‘약물전달체-펩타이드 복합체’(DKF-DC101)의 물질 최적화와 이를 위한 학술연구를 진행하고, 동국제약은 의약품 개발을 위한 독성·효력 평가, 비임상 시험 등을 진행하게 된다. 동국제약과 위스콘신대는 특정 약물전달체 기술을 사용해 기존 3세대 면역항암제나 이에 상응하는 치료제 대비 항암효과가 더 우수하고 경제성 측면에서도 개선된 제품(DKF-DC101) 개발을 목표로 한다.

관련기사



3세대 면역항암제는 암세포가 인체의 면역체계를 회피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더 잘 인식하여 공격하도록 하는 약물이다. 인체의 면역체계를 통해 작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항암제보다 상대적으로 부작용은 적지만, 전반적으로 낮은 반응률, 내성 발생 등 개선점이 지적되어 왔다.

강수연 동국제약 DK의약연구소 연구소장은 “현재까지 기초연구결과를 종합분석해 보면 ‘DKF-DC101’가 3세대 면역항암제 대비 항암효과가 더 우수한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여기에 사용된 약물전달체는 플랫폼 기술은 자사가 보유한 펩타이드 전달 플랫폼 역량과 시너지를 발휘하여 위스콘신대와 '윈-윈'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위스콘신대-매디슨은 노벨상 수상자만 20여명을 배출할 만큼 세계 최상위 연구대학으로 특히 약학대학의 경우 미국 대학 중 7위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재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