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허가없이 유해화학물질 사용…경기도, 불법 사업장 77곳 적발





허가받지 않고 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하거나 유해화학물질 보관시설에 잠금장치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는 등 화학물질관리법을 위반한 업체들이 대거 적발됐다.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8일까지 도내 유해화학물질 취급 허가업체 360곳을 점검한 결과 화학물질관리법을 위반한 77곳에서 모두 81건의 위반사항을 적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위반 내용으로는 무허가 유해화학물질 취급영업 행위 6건, 사고대비물질 관리기준 위반 행위 10건,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위반 행위 17건, 유해화학물질 보관장소 및 보관 용기에 표시사항 미표기 행위 7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대한 자체점검 미이행 18건, 변경허가 미이행 8건, 정기·수시검사 미이행 6건, 개인보호장구 미착용 행위 1건, 기타 대기환경보전법 및 물환경보전법 위반행위 8건이다.

관련기사



시흥시에 있는 A 업체는 2017년 12월께부터 지난 5일까지 4년 4개월 동안 금속제품의 표면처리작업 시 연간 약 2.4톤의 황산·질산·염산 등을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지 않고 사용하다 수사망에 걸렸다.

안산시에 있는 B 업체는 질산 등 약 50㎥를 저장하는 시설을 운영하면서 해당 저장시설에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정상 작동하도록 관리해야 하는데도 잠금장치가 부식되는 등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한 상태로 내버려두다 적발됐다.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허가 없이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거나 잠금장치 미작동의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비상샤워시설 미작동, 유해화학물질 표기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경우 각각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도 특사경은 위반업체 모두 검찰에 송치하고 관할 행정청에 통보할 계획이다.

김민경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장은 “유해화학물질은 인체에 큰 피해를 주기 때문에 철저한 안전관리가 중요하다”며 “도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앞으로도 수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