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갤럭시 '폐어망 재활용 플라스틱', 탄소 25% 절감했다

글로벌 안정인증기관 UL 평가

기존보다 탄소 배출 25% 절감


삼성전자(005930)가 올해 갤럭시 시리즈에 적용한 ‘폐어망 재활용 플라스틱’이 이산화탄소(CO2)를 약 25%가량 절감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제공=삼성전자사진제공=삼성전자





21일 삼성전자는 글로벌 안전인증기관 UL(Underwriters Laboratories)이 진행한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결과 폐어망 재활용 플라스틱(OM-52) 1톤 생산 당 탄소 배출량이 3.3톤으로, 일반 플라스틱(MS-51)의 4.4톤에 비해 25%가량 적었다고 밝혔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120그루가 약 1년 동안 흡수하는 탄소량과 비슷하다.

관련기사



삼성전자는 올 초 출시한 갤럭시S22, 갤럭시탭S8, 갤럭시북2 프로 시리즈에 ‘유령 그물’로 불리는 폐어망 플라스틱을 적용했다. 수집된 폐어망을 분리, 절단, 청소, 압출한 뒤 폴리아미드 수지 펠릿으로 가공하고 이를 부품으로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부품은 갤럭시 S22 시리즈의 키 브래킷(key bracket)과 갤럭시 S22 울트라의 S펜 커버 내부, 갤럭시 북2 프로 시리즈의 터치패드 홀더와 브래킷(bracket) 내부 등에 적용됐다.

삼성전자는 '지구를 위한 갤럭시(Galaxy for the Planet)'를 내걸고 2025년까지 △모든 갤럭시 신제품에 재활용 소재 적용 △제품 패키지에서 플라스틱 소재 제거 △모든 스마트폰 충전기의 대기 전력 제로(zero)화 △전세계 MX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매립 폐기물 제로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김형남 삼성전자 글로벌 CS센터장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제품 개발에서 폐기까지 환경 영향 최소화를 위해 노력 중이며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을 위해 폐제품 수거와 재활용 확대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윤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