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우크라 사태 장기화에…제조업 경기전망 19개월 최저치

전경련, BSI 5월 전망치 97.2…2개월 연속 부진

원자재난에 제조업 부진 심각…비제조업은 회복 기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글로벌 경제 위축으로 기업경기 전망 부진이 2개월 연속 이어졌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 5월 전망치가 97.2를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달 99.1에 이어 2개월 연속 기준선(100)을 하회한 수치다. BSI는 기준선인 100보다 높으면 전월보다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낮으면 부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전경련은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국내 및 세계경제 위축이 경기전망 부진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IMF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의 여파로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5%로 낮추는 등 총 143개국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의 부진이 이어지는 반면 비제조업은 비교적 낙관적으로 나타났다. 5월 제조업 BSI 전망치는 93.1로 4월(94.8)에 이어 2개월 연속 기준점 아래에 머물렀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원자재·에너지가격이 치솟고 중국 상해 봉쇄로 인한 공급망 차질까지 더해지면서 2020년 10월(83.4) 이후 1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비제조업은 102.0으로 4월(104.6%)보다 긍정적이었다. 비제조업의 호조는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조치 해제로 대면 서비스가 활성화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우리나라는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로 기업들이 국제 원자재가격 변동,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특히 취약한 구조”라며 “주요 수입 원자재에 대한 수입관세 인하, 세부담 완화 등을 통해 기업 채산성 악화를 최소화하고 주요 교역국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공급망 안정화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