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코스피 PER '반토막'…선진·신흥국보다 낮아

PER 26.0→11.1, PBR 1.3→1.1

"주가 하락 영향으로 반토막"

배당수익률은 전년 수준 유지





지난해 코스피200지수의 주가수익비율(PER)과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전년 대비 하락하면서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은 물론 신흥국들보다도 낮은 수준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거래소는 2021년 결산 재무제표를 반영한 유가증권시장의 투자지표(PER, PBR 및 배당수익률)를 산출해 해외 주요국의 투자지표와 비교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은 코스피200 기준, 해외 주요시장은 MSCI 국가지수를 기준으로 비교했다.

지난해 코스피 상장기업의 순이익과 현재의 주가 수준을 비교한 코스피 PER은 전년 26.0에서 11.1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순이익이 127.8% 증가한 반면 시가총액은 2.7% 감소한 영향이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는 증권(3.4), 은행(5.0), 철강(5.1), 보험(6.4)의 PER은 낮은 반면 헬스케어(54.8), 유틸리티(36.3)는 높은 PER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시총 상위 50종목 중 높은 PER을 기록한 종목으로는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142.5), 에코프로비엠(247540)(105.0), LG에너지솔루션(373220)(103.1) 등이 있다. HMM(011200)(2.1), POSCO홀딩스(005490)(3.4), 기업은행(024110)(3.9) 등은 PER이 낮았다.

코스피 상장기업의 순자산과 현재의 주가수준을 비교한 코스피 PBR은 2020년 1.3에서 2021년 1.1로 하락했다. 코스피 상장기업의 작년말 자본총계는 1885조원으로 전년 대비 14.2% 증가했지만 주가는 약세를 보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은행(0.5), 보험(0.5), 증권(0.6), 유틸리티(0.6)는 낮은 PBR을 기록했지만 헬스케어(4.2), 미디어&엔터테인먼트(2.5)의 PBR은 높게 집계됐다.

시총 상위 50종목 중 에코프로비엠(20.3), 삼성바이오로직스(11.2), LG에너지솔루션(10.3)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PBR을 기록했다. 반면 한국전력(015760)(0.2), 삼성생명(032830)(0.3), 기업은행(0.3) 등은 순자산 대비 주가가 낮았다.

지난해 코스피 상장기업의 배당금을 현재의 주가로 나눈 코스피 배당수익률은 전년 수준인 1.8%를 기록했다. 2020년 삼성전자의 특별배당 영향으로 지난해 코스피 상장기업의 배당총액(37조5000억원)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최근 주가 약세로 배당수익률은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증권(6.4%), 은행(5.1%), 보험(3.4%), 방송통신(3.2%) 업종은 배당수익률이 높았으며 헬스케어(0.3%), 미디어&엔터테인먼트(0.5%) 업종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높은 배당수익률을 기록한 기업으로는 SK텔레콤(017670)(11.7%), 기업은행(6.9%), 하나금융지주(086790)(6.7%), 우리금융지주(316140)(6.0%), 삼성화재(000810)(5.8%), KT&G(033780)(5.8%), POSCO홀딩스(5.8%) 등이 있다.

한편 코스피200 기준 PER(9.8) 및 PBR(1.0)은 선진국(PER 18.4·PBR 2.8)은 물론 신흥국(PER 12.3·PBR 1.6) 보다도 크게 낮았다.


성채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