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일상 품앗이 공동체 활동 ‘서울시간은행’ 도입





서울시가 일상 속에서 이웃에 도움을 준 시간 만큼 시간화폐로 적립해주는 품앗이 방식의 ‘서울시간은행’을 도입한다고 3일 밝혔다.

서울시간은행은 본인의 시간을 써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도와주고, 활동한 시간을 현금처럼 시간화폐로 적립해뒀다가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개념이다. 미국에서 시작해 현재 영국, 호주 등 전 세계 40여개국에서 운영되는 타임뱅크 방식에서 차용했으며 국내에서는 경북 구미시와 경기 안산시가 도입한 바 있다.



간단한 집수리부터 카풀, 반찬 나눔, 반려동물 산책 등 일상 속 도움을 주고 받을 때 서울시간은행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대학생이 노인에게 스마트폰 사용법을 가르쳐드리고 시간화폐를 적립한 뒤 이삿짐 나르기, 자전거 수리 등 필요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기 위해 시간화폐를 사용할 수 있다.

관련기사



시는 올해 4개 거점에서 시범사업을 시작하고 연말까지 민간 전문기관을 통해 사업효과를 분석한 뒤 2023년 자체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어 모든 지역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시범사업 단계에서는 일상 속 도움을 주고 받는 데 시간화폐를 활용할 수 있지만 향후 시간화폐를 취약계층 기부 등에 활용하는 방안도 도입할 예정이다.

시범사업은 9일부터 네이버 카페 서울시간은행을 통해 순차적으로 시작한다. 은행지점 개념의 4대 거점을 운영하며 14세 이상 서울시민 누구나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4대 거점은 국민대(정릉)지점, 방아골종합사회복지관(방학2동)지점, 타임뱅크하우스(홍은동)지점, 서울시청지점이다.

서울시는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주요 기관과 상생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사단법인 타임뱅크코리아, 국민대 산학협력단, 도봉구 방아골종합사회복지관, 대한불교조계종 조계사 등의 단체 및 기관이 참석했다.

이원목 서울시 시민협력국장은 “개인의 고립과 외로움을 해소하는 것에서 나아가 현대 대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학 위해 새로운 형태의 공동체 모델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서울시간은행이 자발적이고 호혜적인 상생도시 서울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