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조승환 해수장관 후보자 "해운산업, 민간 중심 성장 지원"

"민간 선박투자 활성화로 국적 선대 확충

'청년이 돌아오는 젊은 어촌' 만들겠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4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4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한진해운 파산 이후 공공 주도로 재건된 해운산업이 민간 중심으로 계속 성장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조 후보자는 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어촌지역은 고령화를 넘어 소멸 위기에 처해 있고, 해운항만산업도 세계 경제 불확실성으로 미래를 예단하기 어려우며, 해양 영유권을 둘러싼 해양 국가들의 경쟁도 치열해지는 등 대내외 환경이 녹록지 않다”고 진단했다.



조 후보자는 자신의 모든 경험과 역량을 발휘해 ‘도약하는 해양경제, 활력 넘치는 바다 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겠다고 했다. 특히 그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해운산업을 육성하고 첨단 항만 인프라 조성에 속도를 내겠다”고 공언했다.

관련기사



조 후보자는 “한진해운 파산 이후 공공 주도로 재건된 우리 해운산업이 민간을 중심으로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기반을 확실히 다져가겠다”면서 “민간의 선박 투자를 활성화해 국적 선대를 확충하고 최첨단 자동화 항만과 스마트 물류센터를 신속히 구축하겠다”고 약속했다.

조 후보자는 또 “어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수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겠다”며 “어촌의 주거·소득·생활 수준을 개선할 뿐 아니라 과학적인 자원 관리 정책으로 지속가능한 어업 구조를 확립하고 양식·가공·유통 시설을 스마트화해 ‘청년들이 돌아오는 젊은 어촌’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탄소중립과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선박, 항만시설, 가공 공장 등 주요 탄소 배출원을 환경친화적으로 전환하는 한편 갯벌 식생을 복원하고 바다숲 조성을 확대해 탄소흡수원을 늘리겠다”면서 “플라스틱 쓰레기는 발생·처리·재활용의 전 과정을 철저히 관리해 반드시 성과를 내겠다”고 자신했다.

조 후보자는 이어 “해양 이용·개발을 둘러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해양공간 관리제도를 대폭 정비하고 연안 재해예방 체계도 강화하겠다”며 “해양 레저·관광 산업과 해양치유산업을 확대함과 동시에 디지털 해양 에너지·바이오 등 신산업을 발굴하는 데도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