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올해, 서른' 백세주, 총 7억 병 팔렸다

1992년 출시 후 하루 6만4000병 꼴 팔려…50여개국 수출





국순당은 자사 제품 백세주가 출시 30주년을 맞았으며 지금까지 누적 판매량은 총 7억 병에 이른다고 4일 밝혔다. 30년 동안 꾸준하게 하루에 약 6만 4000병씩 팔린 셈이다.



백세주는 1992년 처음 출시됐다.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외국 관광객에게 선보일 수 있는 대표적인 우리 술을 만들어보겠다는 취지로 개발됐다.

관련기사



백세주에는 ‘생쌀발효법’이 적용됐다. 이는 술이 완성될 때까지 높은 열을 가하지 않고 가루 낸 생쌀과 상온의 물을 그대로 사용하는 친환경적 저탄소 제법이다. 일반적인 쌀을 쪄서 만든 약주와 달리 영양소 파괴도 적을 뿐 아니라 필수 아미노산과 비타민이 다량 함유돼 있다.

국순당은 출시 당시 인지도 및 자본의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외곽지역의 업소를 찾아 다니며 개별적인 공략을 하는 ‘게릴라 마케팅’을 펼친 것이 인기에 한 몫 했다고 설명했다. 업소별 차림표나 메뉴판에 ‘삼계탕에 어울리는 술 백세주’ 등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인지도를 넓혔다.

지난 2008년부터는 우리나라 최초의 양조 전용 쌀인 ‘설갱미’를 지역의 농가로부터 납품받아 술로 빚고 있다. 설갱미는 미세한 구멍이 많아 양조 가공성이 뛰어나며 단백질 함량이 낮고 유리당과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높아 술 빚기에 적합하고 맛이 깔끔하다. 현재 백세주는 강원도 횡성의 해발 500m 지역에 있는 국순당 횡성양조장에서 생산된다.

백세주는 젊은 층을 겨냥해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2020년 불투명 병을 깨끗한 투명 병으로 개선했다. 또 기존의 한자로고 ‘百歲酒’를 한글 서체 디자이너 안삼열 작가와 함께 개발한 한글로고로 변경했다. 탄산수와 조합한 ‘백세주가 깃든 조선하이볼’ 등 다양한 음용 형태를 소개하는 등 꾸준한 변신을 꾀하고 있다. 현재 중국, 미국, 일본 등 총 50여 개국에 수출돼 전 세계를 대상으로 우리 술을 알리고 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