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코로나19 시작된 2020년 국민 10명중 3명이 농촌방문

농촌진흥청, 실태조사 결과 발표…농촌관광 선호활동 맛집 방문→둘레길 걷기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에 농촌을 방문해 관광을 체험한 국민이 10명 중 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농촌관광 중 선호하는 활동이 맛집 방문에서 둘레길 걷기로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4일 농촌진흥청이 지난해 10월 2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전국 만 15세 이상 2,0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내놓은 ‘2020 농촌관광 실태조사’ 에 따르면 2020년 농촌관광 경험률은 30.2%로,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 조사 때의 41.1%보다 줄었다.

농촌관광은 농촌지역 체험활동과 농촌의 자연·환경, 역사·문화, 농업·생활 등을 경험하는 관광을 뜻한다. 1인당 연간 평균 농촌관광 횟수는 2018년 2.3회에서 2020년에는 0.9회로 줄어들었다.

1인당 평균 지출액도 1회당 13만6,884원에서 9만341원으로 감소해 코로나19 여파로 농촌관광 활동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활동은 맛집 방문에서 둘레길 중심으로 바뀌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맛집 방문(72.0%·복수응답), 둘레길 걷기(70.3%), 체험활동(69.7%) 등을 선호했지만, 코로나19 이후에는 둘레길 걷기(64.5%). 농·특산물 직거래(63.4%), 맛집 방문(61.6%) 순으로 선호활동이 달라졌다.

관련기사



농촌관광의 동기는 일상탈출과 휴식(32.2%), 즐길거리와 즐거움 찾기(22.75), 농촌 자연경관 감상(10.0%) 순이었다.

경험한 주요 활동은 농촌 둘레길 걷기(13.2%), 농촌지역 맛집 방문(13.1%), 농·특산물 직거래(11.4%)가 많았다. 동행자는 주로 가족·친지(73.7%)였지만 20대는 친구·연인·선배나 후배(66.7%)와 방문했다는 비율이 높았다. 당일 여행 비중은 72.5%로 2018년 44.8%보다 높아졌다.

농촌관광객의 절반 이상인 53.6%가 1박 이상 숙박을 했으며, 숙박시설을 선택하는 기준은 청결성(22.5%), 시설 편리성(22.3%), 주변 경관(20.9%) 순이었다.

선호 숙박시설은 펜션(51.3%), 휴양림(33.8%), 농촌 민박(30.1%) 순으로 나타났다.

농촌관광 정보는 주변 추천(32.0%), 인터넷·모바일 정보(28.1%), 과거 경험(23.0%) 등을 통해 많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은 주변인의 추천으로 정보를 얻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농촌관광의 전반적 만족도는 74.8점으로 2018년 조사 때 69.8점보다 높았다.

다만 안내홍보물(69.9점)과 응급의료·진료시설(70.1점), 마을 및 체험 관련 해설, 안내(71.2점)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 농가와 마을, 지방자치단체의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상남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장은 “이번 조사로 코로나19 시대 국민 농촌관광 실태와 인식, 개선이 필요한 과제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일상 회복 후 농촌관광 수요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농촌관광이 활성화되도록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정책지원을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