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차바이오텍, 美 세포·유전자치로제 CDMO 시설 완공…"글로벌 시장 공략"

미국 텍사스주 칼리지스테이션 위치

500ℓ 바이오리액터 등 cGMP 설비

"글로벌 CGT CDMO 선도할 것"

지난 3일 미국 텍사스주 칼리지스테이션에서 송윤정(가운데) 마티카 바이오 대표와 회사 및 현지 관계자들이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시설 준공식을 열고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차바이오텍지난 3일 미국 텍사스주 칼리지스테이션에서 송윤정(가운데) 마티카 바이오 대표와 회사 및 현지 관계자들이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시설 준공식을 열고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차바이오텍




차바이오텍(085660)의 미국 자회사인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Matica Biotechnology Inc.)’가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시설을 완공하고 본격 가동한다.



차바이오텍은 지난 3일 오전 10시(현지시간) 마티카 바이오의 CDMO 시설의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미국 텍사스주 칼리지스테이션에 위치한 마티카 바이오의 CDMO 시설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인정하는 우수의약품생산규격(cGMP) 기준에 맞춰 설계하고 시공됐다. 500ℓ 용량의 바이오리액터(세포 배양기)와 글로벌 수준의 제조설비를 갖추고 있다.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사업은 고도의 기술력과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로 노하우를 가진 전문 인력이 필수적이다. 마티카 바이오는 론자, 후지, 찰스리버 등 글로벌 유전자치료제 기업에서 250건의 벡터 제작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10여 종의 바이럴벡터를 개발·생산한 경험이 있는 미국 현지 최고의 전문 인력으로 구성됐다.

관련기사



마티카 바이오는 세포·유전자치료제의 핵심 원료인 렌티 바이러스벡터(Lentivirus Vector), 아데노 부속 바이러스 벡터(Adeno-Associated Virus Vector) 등 바이럴 벡터(Viral Vector)를 생산하고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과 생산 서비스까지 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 바이오공정 전문기업인 싸토리우스와 의약품 개발·생산 일정을 단축하고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대량 생산하는데 필요한 실시간 공정분석기술과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텍사스 A&M대학교와는 플라스미드 DNA, 단백질 공동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송윤정 마티카 바이오 대표는 "세포·유전자치료제는 혁신 기술을 적용해 기존 화학· 단백질의약품 대비 높은 성장성이 기대되는 치료제"라며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력을 내재화하고, 모기업인 차바이오텍이 20년 넘게 쌓아온 세포치료제 연구개발 경험과 노하우를 도입해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차바이오텍은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 세포·유전자치료제 분야에서 단일 시설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첨단 바이오시설 ‘CGB(Cell Gene Biobank)’를 2024년 완공할 예정이다.

미국 텍사스주 칼리지스테이션에 위치한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의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시설 전경. 사진 제공=차바이오텍미국 텍사스주 칼리지스테이션에 위치한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의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시설 전경. 사진 제공=차바이오텍


이재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