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지방 중소도시 전세가율 80% 육박…“깡통전세 주의해야”

분기·권역별 아파트 전세가율 변동추이. 자료=리얼투데이분기·권역별 아파트 전세가율 변동추이. 자료=리얼투데이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이 안정세를 되찾고 있지만 지방 중소도시의 전세시장은 여전히 불안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전세가율을 분석한 결과 지난 1분기 기타지방(수도권·5대광역시·세종시를 제외한 지역)의 전세가율은 77.1%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1분기(77.2%)와 큰 차이가 없는 수치로 전국·수도권 전세가율이 하락하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관련기사



앞서 전국 전세가율은 지난해 1분기(70.4%)부터 매분기 하락해 지난 1분기 68.9%를 기록했다. 수도권도 2019년 1분기 처음으로 70%대가 붕괴된 이후 하락세가 지속되며 1분기 63.6%까지 떨어졌다.

기타지방의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시/도)은 전북 79.0%으로 나타났다. 이어 경북 78.8%, 충남 78.8%, 충북 77.9%, 전남 77.4%, 강원 77.0%이 뒤를 이었다.

시군구 별로는 전세가율이 80%를 넘은 전국 15곳 중 지방 중소도시가 12곳을 차지했다. 전남 광양이 84.9%가 전세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경기 여주 84.2%, 충남 당진 83.4%, 전남 목포83.3%, 경북 포항 82.6%, 충남 서산 82.6%, 강원 춘천 82.6% 순으로 나타났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전세가율이 70%을 넘어서면 위험하다고 보고 있다”며 “주택가격이 떨어지고 경매까지 집행된다면 원금 손실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서면 깡통주택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므로 계약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이어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차라리 내 집을 장만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며 “깡통전세와 전세보증금 손실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한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