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남도, ‘남해 금산 줄사철나무’ 도 기념물 지정 예고

남해 금산서 약 150년간 외줄기 독립수로 자생, 국내 매우 희귀한 사례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친 후 도 기념물 지정 여부 최종 결정

경남 남해군 상주면 금산 보리암 정상 인근에 위치한 ‘줄사철나무’. /사진제공=경남도경남 남해군 상주면 금산 보리암 정상 인근에 위치한 ‘줄사철나무’. /사진제공=경남도




경상남도는 남해군 상주면 금산 보리암 인근에 위치한 ‘남해 금산 줄사철나무’를 도 기념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6일 밝혔다.

남해 금산 줄사철나무는 남해 금산 정상부(봉수대)로 향하는 해발 600m 정도 바위에 의지해 자생하고 있다. 수고 3.8m, 수관폭 3.6m, 근원직경 8.5㎝, 수령은 약 150년으로 추정된다.



줄사철나무(학명: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Miq.) Rehder)는 노박덩굴과 상록성 덩굴식물로, 줄기에서 나는 뿌리가 바위나 나무에 기대거나 타고 올라가는 습성이 있다. 국가지정문화재인 천연기념물로는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군락’이 지정돼 있으며 마이산 절벽에 붙어 나무들이 무리를 이루어 자생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번 도 기념물로 지정 예고한 ‘남해 금산 줄사철나무’는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군락’과 달리 외줄기 독립수(1주)로 자생하고 있는 경우로서 국내에서 매우 희귀한 사례이며 약 150년간 바위에 의지해 주변 식생이나 기후환경에 적응해 생육해왔다는 점에서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줄사철나무가 의지하고 있는 바위에는 명문이 음각돼 있다. 이는 조선시대 금산을 방문한 이들이 성명(姓名)을 새겨놓은 것으로 관찰사·목사·부사 등 다양한 벼슬아치들이 금산을 애호하여 찾아왔음을 증명해주는 기록이므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김옥남 경남도 가야문화유산과장은 “앞으로 관리단체인 남해군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남해 금산 줄사철나무’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보존 및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상남도는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한 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도 기념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창원=황상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