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한국서 150만명 맞은 얀센 백신…美 "웬만하면 맞지 마라" 경고

美FDA, 다른 백신 못 맞거나 추가 접종 어려운 성인으로 제한

혈전 부작용 드물지만 지속…CDC "화이자·모더나 우선 선택"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존슨앤드존슨사의 제약 부문 자회사인 얀센의 코로나19 백신이 혈전 등 부작용이 지속해서 나타나자, 미 식품의약국(FDA)은 기타 백신을 맞을 수 없는 성인만 접종하도록 대상자를 제한했다.



5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FDA는 얀센 백신 접종자를 알레르기 반응 등으로 다른 백신을 맞을 수 없거나 추가 접종이 어려운 성인 등으로 제한한다고 밝혔다. 2회 접종인 화이자나 모더나와 달리 얀센은 1회만 맞는다. 또한 화이자나 모더나 등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을 거부하는 성인도 대상에 포함됐다. mRNA 백신의 경우 드물게 10∼20대 남성에게서 심근염 부작용이 간혹 확인됐다.

관련기사



FDA는 얀센 백신을 접종하고 2주 내 발생하는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S) 위험성에 대한 자료를 다시 살펴본 후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TTS는 mRNA 백신인 화이자·모더나 백신과 달리 아데노바이러스를 전달체로 사용하는 얀센 백신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서 드물게 보고되는 부작용이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미국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앞서 작년 12월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안전을 이유로 얀센보다는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 접종을 우선 선택하도록 권고한 바 있다. 또한 지난해 3월 얀센 백신이 미 당국의 긴급 사용 허가를 받은 뒤 부작용 사례가 발생해 당국이 이를 조사하기 위해 그 다음 달에 10일간 접종을 중단하기도 했다. 당시 당국은 백신의 효능이 위험보다 더 크다고 판단해 얀센 백신 접종 재개를 결정했다.

다만 미 보건당국은 얀센 접종 시 혈전 위험이 드물게 나타나지만 여전히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미국에서 지난 3월 18일 기준으로 60명이 확인됐고 이 중 9명이 사망했다. 이에 미국에서 얀센 백신 접종횟수는 1870만 분으로 모더나(2억1750만 회)나 화이자(3억4060만 회)보다 훨씬 적은 상황이다.

한편 정부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151만 6147명이 얀센 백신을 접종했다. 전체 접종자 4503만5452명 가운데 3.36%에 해당하는 숫자다. 예비군, 민방위 대원인 30대 남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