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대외 리스크에 투자심리 냉각…주식 거래대금 코로나 초기로

“美 4월 물가 피크아웃 확인되면 안도감 줄 것”

[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의 통화긴축으로 투자심리가 냉각되면서 국내 증시 거래 대금이 코로나19 폭락장 수준으로 되돌아 갔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6일부터 이달 6일까지 한 달간 코스피 일평균 거래 대금은 약 10조721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주식 시장이 큰 폭으로 하락했던 코로나19 초기 2020년(10조6555억원)와 비슷한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16조1494억원)에 비해서도 33.6% 줄어든 수치다.



성장주 중심의 코스닥 시장도 위축된 모습이다. 지난달 6일부터 이달 6일까지 한 달간 코스닥 일평균 거래대금은 7조553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37.3% 줄었다. 이는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동기(9조5173억원)보다 적다.

관련기사



국내 증시의 투자심리가 얼어붙은 것은 올해 들어 미국의 연이은 금리 인상과 긴축 정책 압박이 거세지면서다. 지난해 1월 일평균 26조4778억원 수준까지 치솟았던 코스피 거래 대금은 12월 9조9195억원으로 최저점을 찍은 후 올해는 10조~11조원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달 2∼4일에도 3거래일 연속 9조원대에 머물다가 6일에야 10조3308억원을 간신히 회복했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을 나타내는 시가총액 회전율도 낮아졌다. 지난해 1월 24.87%에서 12월 9.88%까지 떨어진 월평균 회전율은 올해 9∼10%대를 머물고 있다.

글로벌 금융 시장 불안으로 코스피가 4거래일 연속 하락을 면치 못하는 가운데 국내 증시의 부진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미국 증시는 지난 4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에 회의적인 시각을 표시하자 안도 랠리를 펼쳤다. 하지만 하루 뿐이었다. 다음날 미국 증시는 "향후 두어 번의 회의에서 50bp(1bp=0.01%포인트)의 금리인상을 검토해야 한다는 광범위한 인식이 위원회에 퍼져있다"는 파월 의장의 발언에 주목하면서 통화당국의 강한 긴축에 대한 경계를 풀지 못하고 있다.

다만 오는 11일 발표될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둔화할 수 있다는 예상이 힘을 얻고 있다는 점에서 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가 일부 완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CPI 발표는 인플레이션 피크 아웃 기대감을 강화할 것"이라며 "물가 수준이 여전히 높을 것으로 보여 인플레이션 경계감이 완전히 해소되긴 어렵지만, 일단 피크 아웃 형성은 금융시장에 안도감을 줄 수 있다"고 했다.


한동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