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 '6G 주파수 백서' 공개

글로벌 연구·논의 등 제안

13일 '6G 포럼'서 성과 공개 

삼성전자 6G 주파수 백서 표지 이미지.삼성전자 6G 주파수 백서 표지 이미지.




삼성전자가 삼성리서치(SR) 홈페이지에 ‘6G 주파수 백서: 주파수 영역의 확장’을 공개했다고 8일 밝혔다. 세계 최초로 5세대(5G) 상용화에 성공한 삼성전자는 6세대(6G) 분야에서도 글로벌 표준화와 기술 생태계 구축을 주도하며 차세대 이동통신 경쟁에서 우위를 지켜간다는 계획이다.



2020년 7월 발간한 ‘6G 백서’에서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The Next Hyper-Connected Experience for All)’이라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비전을 제시했던 삼성전자는 이번 백서에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주파수 확보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관련기사



특히 장기적인 준비가 필요한 6G 상용화를 위해 지금부터 글로벌 차원에서 6G 주파수에 대한 논의와 관련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홀로그램·확장현실(XR) 등과 같은 초고속 대용량 서비스들을 실현하기 위한 후보 주파수 대역을 발굴하고 이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통신 발전 사례상 약 10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선제적인 대응에 나선 것이다.

삼성전자는 수백 ㎒(메가헤르츠)에서 수십 ㎓(기가헤르츠)에 이르는 초광대역폭의 연속적인 주파수가 필요할 것으로 보고 모든 가능한 대역을 고려할 것을 제안했다. 동시에 6G 상용화 시점에도 5G망이 함께 운영되고 있을 것을 감안해 6G를 위한 별도의 신규 대역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이용해 6G 서비스를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지원하기 위해 주파수 사용과 관련한 규제 및 기술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할 것을 제안했다.

삼성전자는 ㎔(테라헤르츠) 밴드 통신, 인공지능(AI) 기반 통신 성능 향상 등 6G와 관련된 핵심 후보 기술에 대한 연구 성과도 이날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13일 ‘제1회 삼성 6G 포럼’을 열고 6G 연구 성과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공개한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