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임기 마친 안경덕 장관 “청년은 어두운 방에서 스위치를 찾고 있습니다”

“청년에 늘 미안“…30년 공무원 ‘귀감’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이 작년 12월 1일 서울 중구 서울고용노동청 본청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성형주기자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이 작년 12월 1일 서울 중구 서울고용노동청 본청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성형주기자




# 작년 말 부산시 산하 청년두드림센터 사무실은 A군을 찾으려는 상담사들의 전화 통화 목소리로 가득찼다. 계속 취업에 실패하던 A군이 가족에게 불안함이 들만한 문자를 남기고 사라진 것이다. 같은 해 7월만하더라도 A군은 고용노동부가 이 센터에서 연 청년간담회에서 “혼자라고 생각했는데 같은 고민을 하는 청년들을 만나 자신감을 되찾았다”고 웃었다. 당시 간담회에 참석했던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이 간담회 후 ‘힘내’라고 안아줬던 ‘그 청년’이다. 다행히 A군은 얼마 후 가족 곁으로 무사히 돌아왔다. 서류 준비부터 면접 심사까지 고용부와 센터 직원들이 도운 덕분에 A군은 어렵게 취업에 성공했다. 이 소식을 뒤늦게 접한 안 장관은 “포기하지 않도록 용기를 북돋아주는 일은 쉽지 않다”고 직원들에게 감사 편지를 보냈다.



문재인 정부 마지막 1년을 다한 안 장관을 설명하는 일화 중 하나다. 안 장관은 ‘청년부’가 있었다면 ‘청년부 장관’이 더 어울렸다. ‘사과부’가 있었다면 그 부처 장관도 나쁘지 않다. 자랑과 호통에 능하고 사과와 감사에 서투른 정치인 장관들과 ‘30년 공무원’은 참 달랐다.

관련기사



작년 12월 서울경제는 안 장관과 인터뷰를 했다. 작년 5월 취임한 안 장관은 6개월 동안 청년 간담회만 열 번 열었다. 2~3주에 한번 꼴이다. 그에게 잘한 정책을 소개해 달라고 물은 이유다. 민관 일자리를 만드는 청년고용응원프로젝트, 채용정책 논의기구인 청년고용촉진특별위원회 등 그가 고용부에서 한 청년 정책도 적지 않다. 그러나 안 장관은 “청년을 만날 때다마 ‘정부가 일자리를 만들지 못해 미안하다’고 사과한다”고 먼저 말했다. 청년 고용지표가 호전됐다는 정부 발표 때도 안 장관의 속마음은 달랐기 때문이다. 그는 “청년을 만나 힘들어하는 이야기를 들으면 나조차도 정말 고용이 좋아지고 있는지 모를 정도”라며 답답해했다. 돌이켜보면 이해가 되는 말이다. 안 장관은 작년 10월 청고특위를 주재하면서도 “취업준비생은 어두운 방안에서 취업의 스위치를 찾는 것처럼 막막함과 불안함을 느끼며 하루하루 버티고 있다”고 회의를 시작했다.

안 장관이 ‘찾아간 곳’들도 기억난다. 안 장관은 작년 5월 28일 현 정부 들어 고용부 장관으로서 두번째로 민주노총을 찾았다. 이날은 구의역에서 목숨을 잃은 김 군의 5주기다. 그는 목숨을 잃은 노동자를 기리는 근조리본을 받았다. 그는 올해 1월 광주 화정현대아이파크 붕괴 사고 옆에 마련된 실종자 가족들의 쉼터에서도 “최대한 빨리 구조되도록 노력하겠다”며 두 손을 앞에 모으고 한참을 서 있었다.

윤석열 정부 1기 내각 후보자들의 논란을 보면서 안 장관을 떠오를 장면이 하나 더 늘었다. 작년 5월 안 장관의 후보자 시절 인사청문회다. 박대수 국민의힘 의원은 “30여년간 깔끔한 공직 생활에 대해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김웅 의원은 “참 열심히 사신 것 같다, 비리 문제를 이야기하면 서로 민망한데 그렇지 않게 살아줘서 참 고맙다”고 말했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