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높아지는 北 위협에…유엔 안보리, 11일 긴급회의 개최

5월 의장국 미국 요청으로 소집

北, 올해 들어서 15번 미사일 발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일 '항일빨치산' 창설 9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가한 평양 청년들을 격려하고 있다. /연합뉴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일 '항일빨치산' 창설 9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가한 평양 청년들을 격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발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긴급회의를 개최한다고 9일(현지시간) AP통신이 보도했다.



이번 회의 소집은 5월 의장국인 미국의 요청으로 이뤄졌다. 회의는 11일 오후 열릴 예정이다.

관련기사



북한은 올해 들어서만 미사일을 15차례 시험발사하는 등 핵·미사일 위협 수위를 높이고 있다. 4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한 데 이어 7일에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쐈다. 북한이 SLBM 발사를 한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7개월 만이다. 미 국무부는 북한이 이르면 이달 중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7차 핵실험을 단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북한은 2017년 9월 이후 약 5년간 핵실험을 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주말의 SLBM 발사를 포함해 일련의 미사일 발사와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미국은 올해 추가 제재 결의안 초안을 안보리에 제출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주유엔 미국대사는 3일 미국이 의장직을 맡고 있는 5월 중에 결의안 표결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결의안에는 북한에 대한 원유 수출 상한을 낮추고, 탄도미사일뿐만 아니라 순항미사일 발사도 금지하는 내용이 담겼다.

하지만 추가 제재가 통과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와 중국이 대북 제재 강화를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 중 한 국가라도 거부권을 행사하면 안보리의 결의안은 통과될 수 없다. 안보리는 북한이 1차 핵실험을 했던 2006년부터 대북 제재를 실시해왔다.

한편 외신은 북한이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직전에 무력 도발을 한 점도 주목했다. AP통신은 "이번 발사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10일 취임을 앞두고 이뤄졌다"며 "윤 당선인은 북한에 대해 보다 강경한 접근을 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