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주유소에서 ‘하늘택시’ 띄운다”…GS칼텍스, UAM 사업 추진

카카오모빌리티·LG유플러스·제주항공 등과 UAM 컨소시엄 구성

주유소 네트워크를 활용해 UAM 이착륙장 구축 추진

10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UAM 컨소시엄 협약식에서 이상엽(왼쪽부터) LG유플러스 전무,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부사장,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 박일평 LG사이언스파크 사장, 장인영 GS칼텍스 부사장, 에두아르도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 최고상용화책임자(CCO), 김영준 파블로항공 대표가 손을 맞잡고 있다. 사진제공=GS칼텍스10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UAM 컨소시엄 협약식에서 이상엽(왼쪽부터) LG유플러스 전무,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부사장,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 박일평 LG사이언스파크 사장, 장인영 GS칼텍스 부사장, 에두아르도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 최고상용화책임자(CCO), 김영준 파블로항공 대표가 손을 맞잡고 있다. 사진제공=GS칼텍스




GS칼텍스가 모빌리티 기술 선도 기업들과 손잡고 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 서비스 시장에 진출한다. 도심을 비롯해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주유소 네트워크를 활용해 일명 ‘하늘을 나는 택시’라 불리는 UAM의 이착륙장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GS칼텍스는 10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카카오모빌리티, LG유플러스(032640), 제주항공(089590), 파블로항공,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와 함께 UAM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관련기사



컨소시엄 참여 회사들은 국토교통부의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챌린지’(K-UAM GC) 1단계 실증사업에 참여해 UAM 산업 초기 생태계에 진입하고, 더 나아가 향후 UAM 산업의 추가적인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로 했다. K-UAM GC 1단계 실증사업은 오는 2025년까지 UAM의 국내 상용화를 목표로 비행체의 안전성, 교통관리 기능시험 등을 통합 운용하는 실증 프로그램이다. 올해 참가자 선정과정을 거친 뒤 내년부터 개활지 실증 비행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컨소시엄 참여 회사들은 각자 역할을 분담해 UAM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GS칼텍스는 주유소 네트워크를 활용해 UAM 수직 이착륙장인 버티포트(Vertiport)를 구축할 계획이다. 주유소는 도심을 비롯해 전국에 고르게 분포돼 있는 데다 천장 공간이 열려 있는 만큼 비행체가 이착륙하기 용이한 UAM 거점으로 적합하다는 평가다. 더구나 버티포트 구축 시 다른 네트워크에 비해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자동체크인 및 보안검색기능 등을 구현한 버티포트 솔루션 구축을 담당하고, 완성형 모빌리티 서비스(MaaS) 앱 ‘카카오 T’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지상과 상공을 포괄하는 멀티모달(Multi-Modal) 모빌리티 비전을 제시한다. LG유플러스는 UAM이 안전하게 운항하도록 모든 움직임을 관찰하고 통제해 기체간 충돌 및 장애물 추돌을 막는 교통관리시스템과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제주항공은 항공전문인력과 운항 관련 시스템 등 그동안 축적된 항공운항 노하우를 기반으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운항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GS칼텍스 관계자는 “이번 협약 이후 컨소시엄 참여 회사들과 협업해 UAM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며 “주유소를 UAM을 비롯해 전기차 충전, 수소차 충전, 카셰어링, 드론 배송 등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점으로 육성해 나가는 노력도 함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