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오일뱅크, 신성장동력으로 '화이트 바이오' 낙점

폐식용유 등 비식용원료로 활용

친환경 초임계 공법도 적용키로

2026년까지 3단계 투자 로드맵

주영민 현대오일뱅크 사장주영민 현대오일뱅크 사장





현대오일뱅크가 미래 성장 동력으로 차세대 화이트 바이오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화이트 바이오란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식물 자원을 원료로 각종 에너지원과 화학 소재를 생산하는 탄소 저감 산업을 말한다.

관련기사



현대오일뱅크는 기름 찌꺼기, 폐식용유, 땅에 떨어진 팜 열매 등 비식용 자원을 원료로 활용해 화이트 바이오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존 바이오산업은 대두·옥수수·팜 등 식용 자원에서 에너지원을 추출했으나 산림 파괴 등 부작용이 심각해지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식용 원료 사용 규제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품 추출 방식도 촉매를 사용하는 대신 고온·고압 조건을 활용한 초임계 공법을 적용한다. 초임계 공법은 유해 물질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고 전처리 공정이 불필요해 투자비와 운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현대오일뱅크는 화이트 바이오 사업의 구체적인 로드맵도 수립했다. 1단계로 2023년까지 대산공장 1만㎡ 부지에 연산 13만 톤 규모의 차세대 바이오디젤 제조 공장을 건설하고 2024년까지 대산공장 내 일부 설비를 연산 50만 톤 규모의 수소화 식물성 오일(HVO) 생산 설비로 전환할 예정이다.

2단계로는 HVO를 활용한 차세대 바이오 항공유를 생산해 글로벌 시장 개척에 나선다. 국내뿐 아니라 원료 조달이 쉬운 인도네시아 등 해외 현지에 화이트 바이오 제조 공장을 직접 건설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3단계에서는 2026년까지 글리세린 등 화이트 바이오 부산물을 활용해 바이오 케미칼 사업을 추진한다. 2030년까지 연간 100만 톤에 달하는 화이트 바이오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주영민 현대오일뱅크 사장은 “2030년까지 화이트 바이오, 블루수소, 친환경 화학·소재 등 신사업 이익 비중을 70% 수준으로 늘리겠다”고 말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