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HK이노엔 케이캡, 인도·남아공 등 7개국 추가 진출

국산 30호 신약 소화성 궤양용제…인도 닥터레디와 수출 계약

미국, 중국, 인도 등 3대 대형 시장 진출…"2028년까지 100개국 목표"








국산 30호 신약인 HK이노엔(195940)의 ‘케이캡’이 세계 4위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 인도를 비롯한 7개국에 추가 진출한다.

HK이노엔은 “최근 인도 제약사 닥터레디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의 7개국 완제품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수출 계약에 포함된 국가는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동유럽 국가 등 7개국이다. 계약에 따라 닥터레디는 제품 출시 후 10년 간 계약 국가 내에서 케이캡을 독점 유통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

관련기사



닥터레디는 1984년 설립된 인도의 유력 제약사로 지난해 기준 매출 약 3조 원을 기록했다. 직원 수는 2만3000명이다. 글로벌 영업망을 갖춰 인도를 비롯한 신흥시장에서 케이캡을 빠르게 안착시킬 것으로 HK이노엔은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이번 계약으로 HK이노엔은 세계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 규모 상위 4개 국가 중 일본을 제외한 중국, 미국, 인도 3개국 모두에 케이캡을 수출하게 됐다. 인도의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1~3분기 누적 약 9000억 원으로 중국(3조 1000억 원), 미국(2조 8000억 원), 일본(2조 1000억 원)에 이어 4번째다.

닥터레디의 인도 및 신흥국 담당인 M. V. 라마나 사장은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은 가장 주목하고 있는 분야"라며 "케이캡의 경쟁력과 닥터레디의 강력한 영업망이 큰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기존 동남아시아와 중남미 지역에 이어 동유럽과 아프리카 등 주요 신흥시장에 진출한 것도 큰 성과라고 HK이노엔 측은 설명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들 신흥국들은 소화성 궤양용제를 비롯한 의약품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향후 케이캡의 글로벌 매출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계약으로 케이캡이 기술 수출이나 완제품 수출 형태로 진출한 해외 국가 수는 총 34개국으로 늘어났다. HK이노엔 관계자는 “올해는 케이캡의 글로벌 진출 원년으로 최근 현지 판매에 돌입한 중국을 시작으로 글로벌 매출이 본격 확대될 예정”이라며 “2028년까지 유럽을 포함한 100개국에 케이캡을 수출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