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찰, 자체 평가에서 치안·수사는 우수…성평등 조직 문화 확산은 미흡





경찰이 지난해 자체평가에서 성평등 조직 문화 확산과 인권보호제도 개선은 미흡했다고 발표했다.



경찰청이 11일 발표한 '2021년 자체평가 결과보고서(주요 정책 부문)'에 따르면 지난해 성평등 종합계획을 수립해 시행하고 성별 영향평가를 시스템화했지만 전 구성원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는 미흡했다고 자평했다. 또 인권 보호제도 개선도 성과지표 40점 만점에 36점으로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인권보호 수사 규칙' 제정이 지체된 점을 원인으로 꼽았다. 이 외에도 국가 안전 보장을 위한 첩보 수집 활동과 정보 분석 결과 공유 등 분야에서 성과가 있었으나 외사·정보 등 유관 기능 협조는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주요 성과로는 치안 대응을 꼽았다. 증원 인력의 41%를 민생치안 분야에 배치해 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했다는 판단에서도. 실제 지난해 112신고 처리 만족도는 87.8점, 교통사고 안전도는 73.5점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경찰 수사 컨트롤타워인 국가수사본부에도 높은 점수를 줬다. 국수본이설치된 뒤 수사의 책임성과 완결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직을 개편했고 역량과 경험을 갖춘 수사 경찰 약 3만3000명이 시스템에 따라 수사하고 결과를 평가받는 수사 기반을 구축했다는 이유에서다. 아울러 인적 역량 강화, 시·도경찰청 중심 중요 사건 대응, 내·외부 삼중 심사로 이어지는 책임 수사 기반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또 '안전속도 5030' 등 교통안전·사망자 감소를 위한 핵심과제를 지속해서 추진한 결과, 전년 대비 사망자가 6.2% 감소(3081→20891명)한 점도 성과로 꼽았다. 특히 자치경찰제로 지역별 맞춤형 대책을 시행하면서 음주운전과 이륜차 등 사고 사망자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했다. 음주운전 사망자는 전년보다 41.8%, 이륜차 사망자는 13% 감소했다.

경찰은 작년 53개 관리과제의 151개 성과지표 중 145개를 달성해 평균 달성률은 99.84%라고 밝혔다. 미달성된 6개 지표는 경찰장비 현장 만족도, 유연근무제 활용실적, 인사 직무만족도, 사이버범죄 검거 증가율, 수사 인권 보호 제도 개선, 법률·소송지원체계 만족도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