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IB&Deal

[시그널] 미래에셋, 이지스 꺾고 여의도 IFC 4조1000억에 인수

캐나다 브룩필드운용, 6년 만에 1조 5000억 차익 실현

미래에셋운용, 사모리츠 설립해 매입…연기금 참여 관건

금리 인상기 수조원 자금 조달 둘러싼 '쩐의 전쟁' 관심





미래에셋그룹이 이지스자산운용·신세계(004170) 컨소시엄을 제치고 여의도 IFC를 4조1000억원에 인수하기로 했다. IFC를 소유하고 있는 캐나다 투자사인 브룩필드자산운용은 인수 6년 만에 1조 5000억원 이상의 매각 차익을 남기게 됐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11일 IFC를 소유한 브룩필드자산운용이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자사를 선정해 통보했다고 밝혔다. 미래에셋 측은 3분기 내 거래를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브룩필드와 추가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IFC는 여의도에 위치한 대형 복합 상업 건물로, 오피스 3개동과 콘래드 호텔, IFC 몰로 구성됐으며 연면적은 약 15만 3,160평에 이른다. 딜로이트 안진과 AIG, CLSA, IBM 코리아, 소니 등 국내·외 금융 및 다국적 기업들이 입주해 있다.

관련기사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최근 시중 금리 상승 등을 고려해 IFC 인수가를 당초 제시했던 4조4000억원 규모에서 3000억 정도 줄인 4조 1000억원으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의 한 관계자는 “우수한 부동산투자 실적과 자금 및 투자자 모집 능력을 바탕으로 최종 입찰 과정에서 IFC 매입가를 낮춰 투자 수익률을 개선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캐나다의 부동산개발 투자사인 브룩필드는 2016년 미국 AIG그룹에서 IFC를 2조 5500억 원에 인수한 바 있어 국내 기업과 투자자들로부터 1조5000억 가량의 수익을 챙기게 돼 IFC 매각을 둘러싼 국부 유출 논란은 제기될 수 있다. 이와관련해 미래에셋측은 브룩필드와 매각 차익에 대한 세금을 국내에 납부할 수 있도록 분명한 장치를 마련해 놓고 있다고 전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향후 사모리츠를 신규 설립해 IFC 매입 자금을 확보할 계획이다. 관계사인 미래에셋증권(006800) 등이 1조원 안팎의 자금을 IFC 인수 자금으로 투입하는 등 미래에셋이 그룹 차원에서 나설 예정이지만 리츠법상 연기금이나 공제회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해야 해 외부 자금 수혈이 절실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국부유출 논란을 우려하는 국민연금(NPS) 등은 IFC 인수에 참여하는 것을 꺼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투자은행(IB)업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새 정부가 막 출범한 상황에다 시중 금리가 오름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아 연기금이나 공제회가 논란을 무릅쓰고 IFC 인수에 자금을 대는 결정을 하기가 쉽지 않다” 고 토로했다.


김민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