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계약학과는 임시방편…수도권 정원규제 풀어야"

[삼성전자 직원이 줄었다]

■규제發 인력난…경쟁력 빨간불

반·배 업계 '대학 연계' 팔 걷지만

대부분 석·박사 과정에 수급 한계






첨단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반도체·배터리 기업들은 특정 대학과 계약학과를 신설해 인재를 채용하지만 선발할 수 있는 인원은 극히 제한적이다. 기업들은 늘어나는 인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대학 내 핵심 산업 학과의 정원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은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반도체 업체들은 최근 직접 대학과 연계해 우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물밑 경쟁을 벌이고 있다. 대표적인 반도체 계약학과로는 삼성전자가 2006년 성균관대와 설립한 반도체시스템공학과가 있다. SK하이닉스도 고려대·서강대·한양대 등과 반도체 계약학과를 개설했다.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이 고려대와 배터리-스마트팩토리학과를 개설한 것을 시작으로 배터리 업체들도 본격적으로 채용 연계형 계약학과를 신설하고 있다.

관련기사



하지만 계약학과만으로는 인재를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게 기업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석·박사 과정으로 운영되다 보니 한 학기당 뽑을 수 있는 인력이 10~20명 정도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반도체와 배터리 산업에서 부족한 인력이 1000~1500명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턱없이 작은 규모다.

예상만큼 계약학과 지원자가 많지 않다는 점도 문제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굳이 지방에 사업장이 있는 기업으로 오는 것은 고생길이라는 부정적 인식이 있는 것 같다”며 “학문을 배우는 대학에서 특정 기업을 겨냥한 교육을 받는다는 것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도 부족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계약학과의 경우 학부생들이 졸업 후 취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석·박사 과정으로 가는 학생 수가 되레 줄어드는 문제점도 있다.

업계에서는 체계적인 인력 양성을 위해 현행 수도권정비계획법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현행법상 수도권 소재 대학은 ‘인구 집중 유발 시설’로 분류돼 정원 확대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해당 규제를 풀어 국가 산업 경쟁력과 직결되는 학과에는 예외를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게 업계와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