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제네릭 의약품만 제조한다는 평가가 있는데 제네릭 의약품이라도 만들 수 있다는 건 대단한 것입니다. 의약품 위탁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백신 생산량이 전 세계 인구보다 많지만 아프리카의 경우 한 번이라도 백신 접종을 해본 사람은 아프리카 전체 인구의 14% 뿐입니다. 그런 점에서 글로벌 인력 양성 허브는 큰 의미를 갖습니다.”
김현숙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단 부단장은 1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어떻게 중저소득국의 보건의료체계 강화에 기여할 것인가’를 주제로 진행된 포럼에서 이 같이 밝혔다. 포럼에선 단순 원조를 넘어 보건의료체계를 강화할 여러 방안들이 논의됐다.
김 부단장은 한국이 글로벌백신허브로 도약해 전 지구적 백신 불평등을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백신이 아무리 많이 생산되더라도 불평등은 계속 된다”며 “백신 불평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생산 시설을 갖추고 생산 시설을 운영할 줄 아는 사람을 갖추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13개국이 선정된 기술이전허브가 생산 시설을 담당하고 한국이 인력 양성을 담당해 백신 불평등을 해결할 수 있다”고 했다.
중저소득 국가에서 보건·의료 체계에 제대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위혜승 국민건강보험공단 글로벌협력실 부연구위원은 “경제적 지원과 보건 인력 양성보다도 해당 나라의 경제부 관료를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제부 관료를 교육해 보건·의료 분야에 국가적으로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다. 백 위원은 “결국 백신이나 치료제 지원이 1회성에 그치지 않으려면 그 나라 재정이 보건 분야 투자에 이뤄져야 한다”며 “보험 시스템 자체가 없는 나라에서 중요한 것은 보건 재정 투입”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날 포럼에선 글로벌인력양성허브에서 교육을 받은 인력들이 중저소득 국가가 아닌 선진국으로 유출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탁상우 질병관리청 위기분석담당관은 “이런 바이오 테크놀로지 인력 양성이 공적인 영역에서 주도하고 있지만 결국 민간 영역에서 재생산 돼 인적자본 유출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탁 담당관은 “인력 양성을 먼저 얘기하기보단 중저소득 국가의 보건의료체계 강화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어떤 부분이 중저소득 국가를 대상으로 공적 영역에서 기여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면 코로나 대응 경험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는 먼저 토대를 갖추고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포럼을 주최한 김민석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은 “바이오 산업으로만 가는 것이 아닌 중저소득국가의 보건의료체계 강화까지 나아가야 한다”면서 “궁극적으로는 인력 양성을 진행한 우리나라의 교육 플랫폼까지 수출해나갈 수 있도록 멀리 바라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