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3000억 육박 카페 선불충전금…92%는 '별다방'에

기프티콘 등 카페 선불충전금 2700억대…스벅이 2500억 차지

윤창현 "쿠폰 금액보다 적은 금액 주문시 차액 적립 등 도입해야"

[스타벅스커피 코리아 제공][스타벅스커피 코리아 제공]




카페에 쌓인 선불충전금 잔액 규모가 2700억 원 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카페는 스타벅스로 이중 92%가량인 2500억 원을 차지했다.

3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스타벅스, 커피빈, 투썸플레이스, 폴바셋, 할리스, 공차, 이디야, 탐앤탐스, 달콤, 드롭탑 등 10개 카페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은 총 2717억 1200만 원이다.



선불충전금은 소비자가 카페 이용을 위해 미리 충전해둔 돈이다. 선불카드나 모바일 상품권, 기프티콘 등에 충전해 환불받거나 쓰지 않고 남아있는 돈이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으로 집계된다.

관련기사



이 중 스타벅스는 1분기 자료를 제출하지 않아 다른 업체들과 달리 2021년 말 기준 수치다. 스타벅스의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은 2503억 원으로 전체 10개 업체 중 가장 많고 전체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의 92.1%에 달한다. 올해 1분기 스타벅스의 선불충전금 잔액이 더 늘어났을 가능성이 크기에 이를 고려하면 전체 잔액 규모는 30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스타벅스 다음으로 선불충전금 잔액이 많은 업체는 커피빈으로, 94억 4300만 원이다. 이어 투썸플레이스(41억 6700만 원), 폴바셋(37억 3500만 원), 할리스(22억 5800만 원) 순이다. 공차(7억 4600만 원), 이디야(7억 700만 원), 탐앤탐스(2억 5900만 원), 달콤(9300만 원), 드롭탑(400만 원)은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 규모가 10억 원 미만이다.

10개 업체 중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을 타인에게 송금할 수 있도록 한 업체는 한 곳도 없었다. 업체가 파산하거나 재무 상태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을 돌려줄 수 있도록 보험에 가입한 업체는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이디야, 커피빈, 할리스, 공차 등 6개다. 폴바셋, 탐앤탐스, 드롭탑, 달콤 등 4개는 아직 보험 가입 신청 중인 상태로 확인됐다.

윤창현 의원은 선불충전금 이용시 소비자가 느끼는 각종 불편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선물로 받은 쿠폰 금액보다 적은 금액의 상품을 주문하면 결제가 이뤄지지 않거나 차액을 돌려받지 못하고 있다"며 "차액 적립이나 환불 정책 등을 도입해 소비자 불편을 개선하는 데 선두업체부터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