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기고]혁신 리더를 세우는 지방선거를 기대한다.

이영달 뉴욕기업가정신기술원 원장(전 동국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

서울 중구·도봉구 기업매출 186배 差

극단적 쏠림 현상에 해결방안 시급

기업 몰릴 지역혁신생태계 만들고

과기 기반 혁신가 배출 체계 갖춰야





서울시 중구는 최근 통계 년도인 2019년 기준 인구 1만 명당 지역기업 매출액(30조 8700억 원)과 지역기업 종사자 수(5만 887명)가 전국 250개 기초자치단체 중 으뜸이다. 지역 인구 대비 기업 종사자 수는 5배에 이른다. 충북 단양군은 정반대다. 서울시 중구와 비교하면 지역기업 매출액은 330배, 기업 종사자 수는 55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같은 서울 안에서도 도봉구의 지역기업 매출액은 중구와 186배 차이를 보인다. 대한민국 제2의 도시인 부산광역시 지역기업 매출액의 전국 비중은 4.31%로 서울시 강남구(7.84%) 1개 자치구의 55% 수준에 불과하다. 얼마 전 출범한 부울경 메가시티, 즉 부산·울산·경남 3개 광역단체의 지역기업 매출액 전국 비중은 10.1%로 이 역시 서울시 강남구와 중구(6.95%) 2개 자치구의 68%에 지나지 않는다. 이른바 빅5(서울시 강남구·중구·영등포구·종로구·서초구)의 지역기업 매출액은 대한민국 기업 매출액의 30.3%를 차지하고 있다. 지역균형발전의 시급성과 중요성을 보여주는 데이터다.

기업 활동의 극단적 쏠림 현상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지역의 좋은 일자리 결핍’은 지역 간 심각한 불균형을 만드는 근원적 문제다. 이는 ‘지역의 좋은 기업 결핍’ 문제와 궤를 같이한다. 따라서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좋은 기업이 지역에 많아질 때 지역균형발전은 실현될 수 있다.



어떻게 해야 좋은 기업이 몰려들고 또 만들어질 수 있는 지역이 될까. 첫째는 ‘지역혁신생태계’에 대한 바른 이해를 갖는 것이다. 20세기의 지배적 패러다임인 ‘지역혁신체계(Regional Innovation System·RIS)’는 자원의 공급과 투입을 중시한다. 그래서 지역의 산업단지 조성, 공공기관 이전, 혁신도시 등 자원 배분 및 투입을 정부 주도로 진행해왔다. 이른바 ‘푸시 모델’이다. 이제 수명을 다한 방법론이다.

관련기사



21세기 패러다임인 ‘지역혁신생태계(Regional Innovation Ecosystem)’는 ‘시장 기회’와 혁신 주체 간 유기적 상호 관계에 방점을 찍고 있다. 그래서 ‘풀 모델’이라고 한다. ‘시장 기회’는 기업 활동과 관련한 가장 핵심적 유인책이다. 공공조달 시장을 혁신 스타트업이 주도하도록 구조적으로 전환해 100여 년의 시간을 통해 축적된 실리콘밸리를 10여년 만에 넘어선 뉴욕의 지역혁신생태계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뉴욕은 혁신의 유효 시장이 갖는 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지역혁신생태계의 핵심 축인 기업 생태계는 기업들이 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혁신의 유효 시장을 통해 만들어진다. 아울러 과학기술 기반의 지식 생태계도 조성돼야 한다. 특히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초중등 교육과정, 학위 및 비학위 과정이 연계되며 지속적으로 지역의 과학기술 기반 혁신가를 배출할 수 있는 선순환 체계를 갖춰야 한다.

사회혁신생태계도 동반돼야 한다. 1기 혁신도시는 평일이든 주말이든 저녁에는 불 꺼진 도시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공공기관 이전을 통해 수도권에서 이주한 종사자들이 ‘기러기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대와 로스쿨을 제외하고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학생들이 지방으로 가는 경우는 과학기술원에 진학했을 때다. 과기원 학생들은 졸업 후 대부분 해당 지역을 떠나 수도권으로 회귀한다. 일자리 문제라는 근원적 문제가 물론 있지만 과학기술원이 있는 지역이 사회문화 전반을 고려했을 때 ‘살 만한 곳’이 되지 못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사회혁신생태계가 지역혁신생태계의 한 축을 구성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