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전국 이슈된 '김포공항 이전' 공약…민주, 대선때는 왜 폐기했나

그린벨트 해제지역 특혜 부담에

대도시권 대체공항 흐름에도 역행

"李, 국힘에 빌미줘" 당내 비판도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30일 국회 소통관에서 서부 대개발 정책 기자회견을 열고 김포공항 부지 첨단 신도시 조성안 등을 발표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30일 국회 소통관에서 서부 대개발 정책 기자회견을 열고 김포공항 부지 첨단 신도시 조성안 등을 발표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꺼내든 ‘김포공항 이전’ 공약이 지방선거 막판에 전국 이슈로 부상하자 민주당이 진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김포공항 이전을 전제로 한 서부권 대개발은 지난 대선에서 충분한 논의를 거쳐 폐기했던 사안인데 이 위원장이 무리하게 밀어붙이고 있다는 불만도 동시에 커지는 모습이다. 국민의힘에 역공의 기회만 줬다는 것이다.



30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안팎에서는 김포공항 이전 공약을 하루빨리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하고 있다. 대선 당시 폐기된 배경도 다시 거론될 정도다.

관련기사



대부분 민간 소유 땅사업성 부족=서부권 대개발 공약은 실현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민주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지난 대선 때 김포공항 인근 부지 대부분은 민간 소유이고 한국공항공사가 소유한 땅은 극소수여서 개발 비용이 현실적으로 감당이 안 된다고 지도부 회의에서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또 “김포공항 일대가 그린벨트 지역인데 특정 지역만 해제 혜택을 주는 것도 정치적으로 부담이 된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고 회상했다. 2030년에 공항 수요가 1억 5000만 명을 넘어서는 만큼 인천공항에 5활주로를 건설해도 초과 수요를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문가 의견도 영향을 미쳤다.

국토부 계획과 엇박자=김포공항이 없어지면 국토교통부가 준비한 계획이 모두 원점으로 돌아간다. 민주당이 여당이던 지난해 말 국토부는 3조 원을 투입해 김포공항 일대에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이착륙장을 만들고 항공 관련 업무·교육 시설과 모빌리티 혁신 사업 시설을 조성하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오영훈 민주당 제주지사 후보는 “김포공항 이전은 국토부 공항개발종합계획에 포함돼야 가능하다”면서 “인수위원회에서 발표한 김포공항 일대 모빌리티 혁신 사업 계획 등 여러 현실적인 여건으로 실현이 어렵다”고 말했다.

대도시권 대체 공항 흐름에 역행=대도시권에 대체 공항을 건설하는 글로벌 트렌드에 역행한다는 점도 고려됐다. 조응천 민주당 의원은 “지금 대도시에는 대체 공항을 만드는 게 추세다. 큰 공항에 문제가 생겼을 때 대체 공항으로 이착륙과 회항을 시킨다”고 설명했다. 김포공항은 서울 도심 접근성이 뛰어나고 출입국 동선이 짧아 일본과 중국을 연결하는 비즈니스 공항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진용 기자·박예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